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사이시옷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한자어 중에서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사이시옷을 쓰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식의 신
      지식의 신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어에서 사이시옷은 동음이의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곳간(庫間)'은 '창고 사이 간격'을 뜻하고, '코간(故間)'은 '옛날 사이 간격'을 뜻합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같지만, 사이시옷으로 인해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사이시옷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는 동음이의어가 존재하지 않아서 사이시옷이 사용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