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2.09.23

까스명수같은 소화제는 어떤성분으로 만들어지나요?

나이
45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 까스명수같은 액체소화제 같은경우는 어떤성분으로 만들어지나요? 인체 무해한가요? 시중에 판매되는 까스명수 까스할명수, 위생천, 위청수 이런것들은 다 동일한성분인가요? 제가 소화기관이 약한편이라 속이 자주 더부룩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간단하게 복용할수 있는 액체소화제를 자주 먹는편인데 자주 복용해도 문제가 되진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까스 활명수는 건강 12mg, 육계건조엑스 30mg, 육두구 6mg, 정향 12mg, 창출 3mg, 고추틴크 0.07mL, L-멘톨 3.5mg, 진피·후박·현호색·아선약70%에탄올연조엑스(3→1) 193.33mg 성분이며 인체에 안전하며 생약 성분의 소화제 물약의 경우 성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주된 함량인 진피는 위액을 촉진하여 소화를 도우며 창출은 배의 가스를 제거하며 다른 한약제들도 위장운동을 도와 소황를 원활하게 하는데 효능효과가 있습니다.

    자주복용한다고 해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소화가 자주 안되는 경우 우선 내과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받길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드링크상태로 나온 소화제 성분은 생약성분이 많이 함유된 소화제 입니다.

    회사의 종류마다 각 각 성분이 다 조금씩 다릅니다.

    소화가 안될때 마다 드셔도 괜찬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까스활명수나 액상 소화제는 보통 생약성분과 탄산이 함유되어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당 성분의 효능은 위를 따뜻하게 하고, 소화를 촉진하며, 위장운동을 활성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증가시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생약소화제는 일반적으로 큰 부작용 없이 드실 수 있으며, 식사 후에 한병씩 하루에 세병 이내로 드시는 것은 괜찮습니다.

    생약소화제 드시고 위장에 크게 부담 없으면 권장량 이내로 드시는 것은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까스 명수 / 까스활명수 / 위생천 / 위청수 모두 동일하지 않습니다.

    또한 까스 활명수는 멘톨 / 건강 / 고추틴크 / 아선약 / 육계 / 육두구 / 정향 / 진피 / 창출 / 현호색 / 후박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위장운동을 도와 소화를 촉진하게 됩니다.

    하지만 탄산과 고추틴크, 육두구를 포함하고 있어 위염 /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까스활명수는 장운동을 촉진하는 생약성분들로 구성되어있어요.

    까스명수, 까스활명수, 위생천, 위청수 등 생약성분이 주를 이루지만 구성이 약간 달라요.

    까스라는 이름이 붙은 소화제보다는 까스가 없는 소화제위주로 드세요.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대표적으로 까스활명수는 건강 12mg, 육계건조엑스 30mg, 육두구 6mg, 정향 12mg, 창출 3mg, 고추틴크 0.07mL, L-멘톨 3.5mg, 진피·후박·현호색·아선약70%에탄올연조엑스(3→1) 193.33mg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위생천, 위청수는 비슷한 효과를 내는 다른 생약 성분이 들어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주 드시더라도 크게 내성이 생기거나 부작용이 있는 것들은 아닙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까스활명수큐액은 L-멘톨,건강,고추틴크,아선약,육계,육두구,정향,진피,창출,현호색,후박 성분의 약입니다. 액상소화제는 위운동촉진, 소화효소분비촉진 등의 효과가 있으며 매번 드셔도 상관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액상소화제는 자주 먹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까스활명수, 위생천, 위청수 등 생약성분으로 구성되며 100% 같은 구성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