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나의 보유주식 종목에 있어서 전환사채가 남아있을 때 주의해야할 점이있나요?

주식을 하다보면

아직도

모르는 단어나 항목이 너무 많은데요.

공시사항에 갑자기

전환사채를 어떤 목적으로 발행하고 어쩌고 하는 내용이 나오니

가격이 막 내려가는 경험을 하게됩니다.

대충 들은바로는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이건 대체 왜 발행하는 지 정확하게 모르겠네요.

그리고 일단은

당장의 하락으로 보유종목을 매도할 의향은 없습니다만

이게 일단 채권의 일종으로 보이는데

전환사채가 남아있는 종목이 되는 상황인데

그럴 경우

이런 종목을 가지고 있을 때 유의해야 할 점은

어떤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전환사채를 발행했을 때 이미 악재가 반영이 되었을 것입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악재가 있을 것인데 그 악재는 언제 갑자기

      전환사채의 권리를 행사할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 전환사채의 권리를 행사하게 되면 주식의 수가 갑자기 증가하면서 주당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가 남아있을 경우 주식으로 전환 될 경우 발행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며 기준 주주 지분율이 낮아지게 되며 주가 하락 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환권 행사 시기에 급락 패턴이 나오기도 합니다. 또한 일부 기업은 주가 하락을 유도한 후 전환가를 하향시키고 저가 주식으로 대량 전환하는 먹튀 사례가 있기 때문에 이를 주의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되고 향후 이 물량이 주식으로 전환된다면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전환사채 보유시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환사채를 보유하시고 계시면 주식 전환 시기, 리픽싱 조항,

    대량보유 보고 의무, 행사기간, 이자 소득세 등을

    유심히 살펴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는 채권이지만 일정 시점 이후에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가 있기에 잠재적으로 주식 물량 증가 요인이 됩니다. 이에 전환권이 행사 되면 기 존 주주 입장에서는 지분 희석으로 가치 하락이 발생 할 수 있죠. 따라서 보유 중인 종목에 CB가 남아 있다면 전환 가능시기와 가격 그리고 전체 전환 시 유통 주식 수 증가폭과 전환주체가 누구인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는 저렴한 자금 조달과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전환사채는 잠재적인 주식 물량 증가를 전제로 하므로, 오버행이나 리픽싱에 유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는 추후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잇는 권리가 있다고 보는 채권입니다. 이러한 전환사채는 cb라고 하며, 자금을 모으기 위해 하나의 권리를 투자자들에게 주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전환사채를 하게 된다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찌만, 하나의 빚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어, 기업이나 회사의 변동성이나 수익성 발전가능성을 보시면서 지속 탐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