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97년생박사
97년생박사22.10.11

정기적금과 정기예금의 이자 차이

똑같이 천만원을 정기예금와 정기적금으로 들었다고 했을때 이율은 정기적금이 높은데 받아가는 이자는 정기예금이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기예금은 1천만원을 1년간 예치하였을 때,

    1년동안 위 천만원에 대한 이자를 받습니다만

    정기적금과 같은 경우에는 1년간 납입하였을 때

    1번째 달에 납입하는 돈은 12개월의 이자, 2번째 달에 납입하는 돈은 11개월의 이자

    이런식으로 줄어들어 실제로 받는 이자가 적은 것이니 참고하세요.


  • 정기예금은 처음부터 많은 돈을 예치하기 때문에 그 많은 돈에 대해 이자가 붙습니다.

    하지만 적금은 처음에는 적은 돈을 예치하기 때문에 이자율이 높더라도 이자가 많이 붙지 않습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정기예금의 이자가 더 많은 것이죠.


  •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예금은 1회차에 약정 이율로 만기까지 예치합니다.


    반면 적금은 매월 불입하기 때문에 1년 만기 적금의 경우 1회차만 1년치 이자를 받고 2회차는 11개월에 대한 이자, 3회차는 10개월에 대한 이자로 만기에 가까워질수록 이자가 줄어듭니다. 따라서 예금이 이자율이 약간 작을수 있어도 최종적으로 예금의 이자수익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의 경우 예금가입시점에 1000만원을 모두 완전이 납입하는 것이고, 적금의 경우 매달 83만원을 납입하며 만기시점 1000만원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율은 적금이 높으나, 이자부리 금액은 예금이 더 높아 전체적인 이자는 예금이 더 많이 적립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적금은 다달이 돈이 불입되어 돈이 계좌에 머무는 시간이 다 다르지만, 예금은 초기 목돈이 한 번에 예치가 되어 오랜 기간 계좌에 머물게 되므로 아무래도 이자율이 조금 낮아도 예금이 적금보다 수령하는 이자는 더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 1년짜리 정기 예금으로 120만원을 가입했다면 120만원의 1년치 이자를 만기에 지급받게 되지만, 한달에 10만원씩 총 12달 납입하는 1년짜리 정기 적금의 경우에는 첫달 납입하는 10만원의 경우에는 1년에 대한 이자를 받지만 그다음달 10만원의 경우에는 11개월, 마지막 달에 납입하는 10만원의 경우에는 1개월치 이자만 받기 때문에 동일한 금리라도 정기예금이 정기적금보다 만기에 받는 이자가 높습니다.


    말씀하신 천만원을 가지고 예금이랑 적금이랑 가입하는 것을 가정하는 경우, 금리에 따라 다르지만 적금금리가 충분히 예금금리보다 높아야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린것처럼 같은 금리라면 예금실질이자가 더 높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기예금은 목돈을 은행에 예치해두고 일정기간(예시 1년)이 지난후에 이자와 함께 찾습니다.

    이에 반해 정기적금은 매월 일정금액을 부리하여 일정기간(예시 1년)이 지난후에 이자와 함께 찾습니다. 이때 마지막부리한 금액은 은행에 1개월치밖에 이자가 붙지 않기 때문에 질문하신바와 같이 이자는 정기예금이 높은 것입니다. (즉 정기적금 이자는 12개월치 11개월치 10개월치 9개월치...........1개월치 이렇게 부리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과 적금 중 어떠한 저축이 더 유리한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iec.kdi.re.kr/publish/columnView.do?cidx=12293&sel_year=2019&sel_month=11

    예금이나 적금에 관한 금리조회에 대한 사이트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fsb.or.kr/rateinst_0100.act


  • 안녕하세요.


    정기예금은 거치식이고 정기적금은 적립식이라서 그렇습니다.


    둘다 이자가 5퍼센트에 만기 1년을 가정했을때

    예금의 경우, 120만원이라는 돈을 한번에 넣고 1년뒤 세전 6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의 경우, 매달 10만원씩 넣고 만기에 대략 세전 5만원 정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적금의 이자 계산법을 아셔야 하는데

    첫달의 10만원은 5% x 12/12 = 라서 5%가 맞지만, 다음달의 10만원은 5% x 11/12 = 라서 5퍼센트보다 낮습니다. 이렇게 계속 나아가기 때문에 이자도 계속 줄어듭니다.


    왜 이렇게 계산하냐면, 은행의 입장에서는 만기 12개월중 고객의 10만원을 받는 타이밍이 각각 다르고, 그 만기중에서 고객의 돈을 활용할 수 있는 기간이 점점 짧아지므로, 그만큼 이자가 줄어드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원금의 차이가 있기때문입니다. 1천만원을 한번에 예금한것과 1천만원을 쪼개서 월별씩 나누어 적금을 하면 원금의 차이떄문에 이자율 차이가 발생하는것입니다. 1천만원을 년간 4%씩 계산한다고 하면 세전 40만원을 그대로 받지만 적금은 원금에서 차이가 나기떄문에 5%라 할지라도 이자가 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