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너그러운테리어77
너그러운테리어7723.03.14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금리계산 방법이다른가요?

정기적금의 금리가 일반적으로 예금보다 조금 높은것을 많이 보게됩니다. 그러데 만기시 받는금액은 예금이 높거나 비슷하던데 계산법이 어떻게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같은 금액으로 가입을 하더라도 적금과 예금의 차이는 돈이 맡겨진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리가 대출을 받았을 때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다면 1년이란 기간으로 대출을 해도 6개월만에 갚으면 6개월치 이자만 내는 거랑 같은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가입기간 1년에 이자는 10프로 가입금액 1200만원으로 가정했을 때

    예금은 처음 가입시 맡길 금액 전부를 납입합니다. 1200만원을 전부 넣었으니 1200만원 전부 1년동안 은행에 맡겨지니 1년치 이자를 다 받습니다.

    1200만원*10%=120만원

    적금은 매달 금액을 나누어 납입을 합니다. 12개월로 나누면 월100만원이 납입이 됩니다. 처음 납입되는 100만원은 만기까지 12개월동안 은행에 맡겨져 12개월치 이자를 받게 되지만 이후 납입되는 금액들은 은행에 맡겨지는 그 기간이 줄어들고 줄어든 기간만큼 이자가 줄어듭니다. 2회차 11개월 3회차 10개월...10회차 2개월 11회차 1개월로 맡겨진 기간 만큼에 이자를 받게 됩니다.

    100만원(1회차)*10%*12개월/12개월+

    100만원(2회차)*10%*11개월/12개월+

    100만원(3회차)*10%*10개월/12개월+

    ....+

    100만원(11회차)*10%*2개월/12개월+

    100만원(12회차)*10%*1개월/12개월=65만원

    이렇게 같은 금액 금리 기간으로 하면 예금이 이자를 많이 받기 때문에 적금의 금리가 예금보다 조금 높게 설정해서 판매를 하는 거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기예금은 고객이 일반적으로 몇 개월에서 몇 년에 이르는 고정된 기간 동안 자금을 약정해야 하기 때문에 정기예금의 이자율은 일반 저축예금보다 일반적으로 높습니다. 이는 은행이 이러한 자금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기 투자 또는 대출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정기예금에 대한 이자를 결정하는 계산 방법은 일반적으로 예금의 원금, 이자율, 예금 기간 또는 기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벌어들인 이자는 보통 복리인데, 이는 예금의 원금에 더해져서 이자가 생기고, 이는 더 높은 수익으로 이어집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정기 저축예금의 계산 방법은 일반적으로 더 간단하며 일별, 주별 또는 월별 평균 잔고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이자는 일반적으로 월별 또는 분기별로 주기적으로 계산 및 지급됩니다.

    종합적으로 정기예금과 정기예금의 산정방식의 차이는 상품의 종류와 약정기간, 수익률, 복리빈도 등 각각의 특성에 따른 차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