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hswisdom
hswisdom24.03.17

목사라는 직업은 언제부터 생긴 것인지요? 구교에서 신부님과 수녀님, 추기경, 교황 등의 사람들이 전향하면서 시작된 것인가요?

목사라는 직업은 언제부터 생긴 것인지요? 구교에서 신부님과 수녀님, 추기경, 교황 등의 사람들이 전향하면서 시작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목사라는 직업이 언제부터 생겼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마틴루터와 존 칼빈 쯔빙글리 마틴부처 같튼 개혁가들은 개혁을 외치는 자들의 특성상 개혁된 교회안에서 예전처럼 사제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해서 사제를 대신할 단어를 찾으려고 골몰하다가 " 설교자"" 사역자"" 목사"라는 용어를 도입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처음에는 설교자 라는 단어를 많이 쓰다가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부터 목사라는 단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목사는 프로테스탄트 교단의 교직자를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예배를 준비하고 교리를 가르치며 신자의 상담을 진행하는 점에서 신부와 같습니다. 원래 목사의 기원은 기독교 초기 교회의 성직자 개념에서 비롯되었습닏. 특히 에베소서 4장 11절에서 언급된 '목사'는 헬라어 '포이멘'에서 유래한 것으로 '목자' 또는 '양치기' 역할을 상징합니다. 이를 해석할 때 선지자, 복음을 전하는 자는 임시직분(extraordinary office)으로 분류하고, 목사와 교사를 통상직분(ordinary office)으로 분류합니다. 칼뱅은 교회의 직분을 목사, 장로, 교사, 집사 네 직분으로 분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직업으로서의 목사의 유래는 아마도 로마제국이 기독교를 국교로 삼은 4세기 이후의 일일 것입니다. 점차 성직자라는 full time job 이 생겨났을 뿐 애당초 목사는 직업이 아니었습니다. 마치 '동창회장'이 직업이 아닌 거란 마찬 가지 입니다. 예수님의 가르침에 동의하고 이를 삶 가운데 실천하며 살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사람들의 모임. 그러한 의지를 세례라는 의식을 통해 공표한 사람들의 자발적 모임. 이러한 모임이 바로 교회의 원형이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목사직의 기원은 500년 전 루터나 칼뱅 같은 종교 개혁자들이

    신구교로 나뉘어 싸우는 시대적 상황에 때문에

    강력한 종교지도자를 필요로 여겨 만들어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