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달팽이122
우람한달팽이122

뉴클레오타이드의 syn, anti형

sny, anti형이 정확히 어떻게 다른 건지 궁금합니다

구조 사진으로 봐서 알 정도의... 수준은 아직 제가 못 돼서요...

염기의 결합 방향?에 따라 다른 걸로 알고 있는데 간단하게 어떤 차이가 있는건지 알려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뉴클레오타이드의 syn형과 anti형은 염기가 당 위에서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하느냐에 따라 구분되는 입체적 구조 차이입니다. 즉, 염기가 당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결과 만들어지는 두 가지 대표적인 형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뉴클레오타이드는 당의 1번 탄소(C1')에 염기가 결합하는데요, 이때 염기가 당 위에 어떤 방향으로 누워 있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우선 anti형은 염기가 당으로부터 바깥쪽, 즉 떨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입니다. 가장 안정적이며 자연에서 대부분의 DNA와 RNA가 이 상태이고 이 형태일 때 이중나선 구조가 정상적으로 형성됩니다.

    다음으로 syn형은 염기가 당쪽으로 안쪽, 즉 내부 방향을 향하여 겹치듯이 기울어진 상태입니다. 입체적 충돌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불리하며 잘 나타나지 않지만 퓨린계 염기에서 일부 존재할 수 있으며, 특히 Z-DNA에서는 구아닌이 syn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뉴클레오타이드의 Syn 형태와 Anti 형태는 염기와 리보오스 또는 디옥시리보오스 같은 당이 연결되는 N-글리코시드 결합을 중심으로 염기가 회전할 때 나타나는 입체 구조 이성질체입니다.

    가장 간단하게 말해, 이 두 형태의 차이는 염기가 당 고리 위를 향하고 있는지 아니면 당 고리에서 멀리 떨어져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지에 있습니다.

    Anti 형태는 염기 고리의 가장 큰 부분이나 주요 치환기가 당 고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습니다. 이 형태는 염기와 당 사이에 입체적 반발이 최소화되어 가장 안정적이죠.

    반면 Syn 형태는 염기 고리의 가장 큰 부분이 당 고리 위쪽으로 위치하여 공간적으로 겹쳐집니다. 이로 인해 입체적 반발이 생겨 Anti 형태보다는 덜 안정적입니다.

    1명 평가
  • 뉴클레오타이드의 syn형과 anti형은 당과 염기를 연결하는 결합을 축으로 염기가 어느 방향으로 놓여있는지에 따른 입체 배향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Anti형은 염기의 부피가 큰 부분이 당과 멀어지는 방향 즉 바깥쪽으로 뻗어 있어 입체적 방해가 적고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므로 대부분의 DNA 이중나선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형태인 반면 syn형은 염기가 당의 위쪽으로 회전하여 겹쳐진 형태로 좁은 공간 탓에 불안정하여 피리미딘 계열에서는 거의 형성되지 않고 퓨린 계열이나 Z DNA 같은 특수 상황에서만 관찰됩니다. 결론적으로 당을 기준으로 염기가 멀리 펼쳐져 있으면 anti형이고 당 쪽으로 접혀 있으면 syn형으로 구별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