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23.10.22

우주에서는 가속을 하면 계속해서 빨라지나요?

우주에는 진공상태 이므로 물체가 움직일때

저항이 없는데요

그러면 우주선이나 위성들이 가속운동을 하면

저항이 없으니 계속해서 빨라질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이 없는 것은 물체가 나아가는 힘을 방해하는 것이 없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비행체가 연료를 소모하며 가속하게되면,

    지구에 비해서 쉽게 목표속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료소모를 멈추게되면(가속을 멈추면)

    연료소모를 멈추기 직전의 속도로 계속 유지됩니다.

    요약하자면,

    우주에서는 무중력 상태로 인해 저항이 없을 경우, 가속을 하지 않을 때

    정지상태 비행체는 계속해서 정지상태로 유지하고,

    100km/h로 비행중인 물체는 계속해서 100km/h로 비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는 방해하는 힘이 없기 때문에 마찰이 0 인 상태임에 따라 등속 운동을 하는 물체는 계속 등속 운동을 하게되고 가속도가 붙은 물체는 계속 가속도가 붙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진공상태 공기와 중력이 없다보니 작은 힘에도 저 멀리 날아가 버립니다. 가속을 한다면 더 빨리 날아갑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대부분의 대기와 공기가 없기 때문에 지구 상의 대기 중에서와 같은 공기 저항이 없습니다. 그러나 물체가 우주에서 움직일 때에도 여전히 중력과 질량에 의한 물체의 운동 상태를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습니다.

    물체가 가속운동을 하려면 밀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힘을 가해야 합니다. 그러나 물체가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하려면 상대적성 이론과 같은 물리 이론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론상으로는 속도가 빠를수록 에너지가 무한히 증가하게 되며, 실제로는 이론적인 한계에 도달하게 되어 계속해서 빨라질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주선이나 위성은 초기 가속 후에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거나 획득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추진체를 사용합니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운동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운송체와 엔진 디자인이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가 움직일때 공기의 마찰에 의해서 움직임이 점점 줄어들면서 멈추게 됩니다. 그런데 우주에서는 대기가 없어서 추진이 된다는 조건에서는 지속적으로 움직이면서 마찰이 없어서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속도가 계속 빨라지면 지속해서 가속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 공간에서 물체가 움직일 때는외부 저항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물체는 지속적으로 가속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우주선이나 위성과 같은 물체에도 적용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요소들이 물체의 가속을 제한하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주선의 가속은 연료 소비와 관련이 있으며, 연료 공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시점 이후에는 가속이 멈출 수 있습니다.

    또한, 우주선이나 위성이 특정 목표를 위해 디자인되었다면, 예를 들어 지구 궤도에 진입하거나 다른 행성으로 이동하는 경우, 적절한 속도와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 엔진을 조절하거나 중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