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둘기
비둘기23.03.06

고종황제 시절 우리나라와 러시아가 어떤 계기로 긴밀한 사이가 된것인가요?

고종황제시절 우리나라는 러시아와 무역 및외교를 활발히 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관파천당시도 러시아 공사관으로 고종황제 피신을 하고 말이죠

이전의 역사를 보게 되면 우리나라와 러시아는 서로접점이 없는 관계였는데 어떤 일을 계기로 친밀한 사이가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대한제국(한국)은 동양 국가들 가운데서 가장 선진적인 나라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대한제국의 자주성이 갈수록 약해졌고, 이에 따라 유럽과 미국의 간섭이 더욱 심해졌습니다.

    러시아는 중국과의 군사적 충돌을 통해 동북아시아에 대한 영토 확장을 추구하였고, 이로 인해 대한제국과 러시아의 관계는 긴밀해졌습니다. 특히, 1895년 대한제국과 일본 사이에서 발생한 '신미래국 협약' 이후에는, 러시아와 대한제국의 관계는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신미래국 협약에서 일본은 대한제국과 청(중국) 간의 관계에서 중재자의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러나 이후 일본이 청과 대한제국에게 공정한 중재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나자, 대한제국은 이에 대한 러시아의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러시아는 이를 수용하고, 이어서 대한제국과 러시아는 서로에게 경제적, 군사적, 정치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대한제국과 러시아는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으며, 대한제국의 자주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 도움을 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대한제국의 독립성이 점차 약해지면서, 러시아의 이익을 위해 대한제국을 이용하려는 시도도 있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간 것은 일본의 민비 시해 라던지 기타 고종의 목숨을 장담 할수 없던 상황에서 어쩔수 없었던 선택 으로 보여 집니다. 개인적으로 보나 국가적으로 보나 창피하고 안타 까운 일 입니다. 긴급한 상황에서 어떻게던 맞서 싸워야지 목숨을 부지 하기 위해 남의 집으로 도망 간 셈이니까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종 황제 시절에 러시아와 사이가 가까웠던 이유는 고종 황제는 청일 전쟁 이후에 밀려난 청나라를 대신해 일본을 견제할 세력으로 러시아를 끌어들이려고 했습니다. 이것으로 인해 프랑스, 독일, 러시아가 힘을 합쳐서 일본에게 태클을 걸어 청일 전쟁으로 일본이 먹은 요동 반도를 다시 토해내게 만들었습니다. 이에 일본이 친러 정책을 펼친 명성 황후를 시해했던 을미사변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냉정히 말해서 러시아와 친밀한 관계였던 것이라기 보다는 일본이라는 외세를 러시아를 통해 어느정도 제어 해보려는 의도였다고 볼 수 있으나, 러시아 역시 조선을 식민지화 하려는 목적에서 더 우호적으로 대해줬다 이렇게 보는 게 맞을 것입니다. [ * 결국 추후 러시아가 러일전쟁에서 일본에게 패배함으로써, 한반도에 대해 거의 어떤 영향도 끼치지를 못했습니다. ]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