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5.02

조선시대에 왜 유교가 나라의 근본이 되었죠?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유교를 나라의 근본으로 삼았는데요. 어떤 계기로 유교를 숭상하게 됐나요? 그리고 사람들간 유교를 어떻게 전파됐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이전국인 고려가 불교를 숭상했죠. 그러나 불교는 시간이 지속되면 지속될수록 폐단이 발생하였고 이 것을 지켜본 조선의 개창세력인 신진사대부와 신흥무인세력은 불교를 매우 싫어했습니다. 조선의 개창세력의 핵심이라고 할수있는 정도전은 '불씨잡변'이라는 책을 서술, 불교를 맹렬히 비판하였고, 조선의 3번째 왕이었던 태종은 승려신분증인 도첩제를 실시, 아무나 승려가 되는것을 막았습니다. 또한 조선의 근본국가 이념이 숭유배불(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한다는 것)이었기에 불교는 당연히 크게 쇠퇴할 수 밖에 없었고 유교가 강성해졌습니다. 지방의 사족 (사림이라고도 하죠.) 들은 향약(유교의 윤리책과 비슷)을 보급하여 유교를 퍼뜨리는 데 크게 일조했습니다.

    이와같은 이유로 조선은 유교 사회가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이 유교를 국시로 삼은 이유는 불교의 폐혜가 원인 이기도 합니다. 당시 고려는 불교로 인해 많은 문제를 가졌습니다. 승려들의 일탈은 기본이고 많은 사찰들이 세금을 내지 않기에 국가 ㅈ정에도 영향을 주었지요. 그래서 유교를 숭배 하는 많은 학자들은 새로운 조선을 위한 믿음이 필요 했고 그래서 유교를 믿게 된 것 입니다. 유교는 명나라에 유학을 다녀 온 학자 들에 의해서 퍼져 나갔고 그들의 제자들의 또한 유교를 퍼뜨려 나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