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고마운까치107
고마운까치10723.10.31

후유장애보험 가입 후 정신과는 얼마쯤 뒤에 가면 되나요?

보험 가입하기 3년 전쯤에 불안장애로 인한 정신과 진료 기록이 있습니다. 요즘 상태가 안 좋아져서 그런데 후유장애 보험 가입하고 정신과 진료는 얼마쯤 뒤에 받을 수 있나요? 보험사에서 보험사기로 판단하지 않으려면요. 정신과 진료 관련해서는 실비 청구를 한 적은 없습니다. 앞으로도 계획은 없구요. 실비는 10년 전에 가입했고 이번에 후유장애 관련해서 보험 하나 새로 든 상황입니다. 유병자 보험도 아니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후유장해 보장은 상해후유장해와 질병후유장해가 있습니다.

    정신과 적으로 후유장해 진단은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실비보험에서는 정신과 진료비 중 급여 부부만 보상을 하고 있습니다.

    본인이 가입된 보장을 다시한번 살펴 보세요.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 가입후 승낙이 났다면 따로 기간은 없습니다.

    그냥 치료를 받으셔도 상관없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유솜 보험전문가입니다.

    정신행동장해는 보험기간중 발생한 뇌의 질병 또는 상해를 입은 후

    18개월이 지난 후 판정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정신행동장해는 장해판정 직전 1년이상 정신건강 의학과의 전문적 치료를

    받은 후 치료에도 불구하고 장해가 고착되었을 때 판정하고

    약관에 정해져 있는 GAF점수에 따라 판단되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님이 질문하신 후유장해보험이 어떤 보험인지는 알 수 없으나,

    기본적으로 후유장해보험에서 정신과 치료와 관련된 후유장해는 능력장해측정기준을 통해 측정하는 것으로

    우울증, 정신분열증, 조울증, 불안장애, 등은 후유장해에 해당되지 않아,

    후유장해보험자체만으로는 정신과 진료와 큰 영향이 없을 수 있어 문제는 안될 것입니다.

    다만, 위의 능력장해측정기준의 대상이 될 정도라면 통상 가입후 3년후 진료를 받으심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