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중국에서는 식인이 성행했나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1입니다
고대중국에서는 따로 요리법이
있을정도였고 공자도 좋아했다고
글을본거 같은데 정말 식인이 성행했나요?
안녕하세요. 조사해본 결과 아래와 같이 식인 관련 내용이 있어 정리해보았으니 참고 바랍니다.
식인문화는 중국 4천년 역사에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습니다. 한나라가 건국된 기원전 206년부터 청나라가 멸망한 1912년까지, 중국에서는 식인의 기록이 220차례나 정사(正史)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최초의 식인 이야기는 중국의 전설적인 왕조인 하나라 당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죠. 아들을 죽인 원수를 죽여 육장(肉醬)을 만들어 원수의 아들에게 먹기를 강요한 여인 이야기입니다. 유교는 '복수주의'를 인정할 뿐 아니라 오히려 장려한 면이 있어 복수에 의한 식인행위가 있었습니다.
'부모의 원수와는 같은 하늘 아래 살 수 없다(불구대천, 不俱戴天)'는 생각으로 심하면 부친의 원수를 29대까지 갚기도 했습니다. 복수할 때는 한 칼에 숨통을 끊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천 갈래, 만 갈래로 잘랐으며 때로는 고기를 잘라먹고 심장과 간을 꺼내어 씹어먹으며 뼈까지 갈아먹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한 예로, 측천무후 당시 잔혹한 고문과 형벌로 유명했던 내준신이 처형되었을 때에는, 군중들(그에게 처형당한 이들의 가족들)이 다투어 그의 고기를 잘라 먹었다고 합니다. 황제는 법률로 '살육의 형'을 규정했습니다. 이는 주나라 때의 율령 체제부터 등장하지만 이전에도 마찬가지였죠.
식인 기록이 나타난 최초의 정사인 <사기(史記)>는 중국 최초의 역사왕조인 은 왕조(주나라 이전의 왕조)의 마지막 임금 주왕이 신하들을 '해(인체를 잘게 썰어 누룩과 소금에 절인 고기)', '포(脯, 저며서 말린 고기)', '자(炙, 구운 고기)'로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해, 포, 자'는 이후 중국 춘추전 국시대까지의 인육 조리법의 대표격으로 계속 등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식인이 일상적으로 행해졌던 것은 아니지만, 일부 지역이나 특정 시기에는 식인이 일어났던 경우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서쪽 지역인 총칭 "서종" 지방에서는 인간 육식이 있었다는 기록들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명나라 시대(1368년1644년)에는 명나라 황제인 신종(1360년1424년)이 식인을 좋아해서 그의 궁중에서 인간 육식이 일어났다는 기록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전체 중국의 역사에서는 매우 소수에 해당합니다.
한편, 일부 문학작품에서는 식인이 주제로 다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손명숙의 소설 '무진기행'에서는 고구려 시대에 식인이 일어났다는 내용이 등장합니다. 그러나 이는 문학작품일 뿐, 역사적인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식인은 성행이라고 하기보다 특정 시기마다 가뭄등 심하게 들어서 먹을게 없아보니 어린 아기를 종종 잡아 먹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춘추말기 유명한 도둑 도척은 매일같이 죄없는 사람을 죽여 사람의 간을 회로 먹는 등 포악이 극에 달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중국 고대사를 보면 사람 고기 라는 말이 자주 등장합니다.
치열한 전쟁에서 이기면 적군 수장의 간과 쓸개를 뽑아 조상의 제단에 올려 신에게 전승을 알렸으며 한의 황제 유방의 부인 여후는 모반을 한 혐의로 제후 팽월의 목을 베고 나서 시신을 고기로 포를 떠서 장육을 만들어 조그마한 함에 넣어 제후 영포에게 보내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중국같은 문명국에서도 식인 풍습이 존재했던 것이었다.
더욱 놀라운건 그들은 인육을 장에서 내다 팔 정도이며, 아무럼 거리낌없이 인육을 즐겼던 것이었다.
중국 은나라 때는 해라는 끔찍한 형벌이 있었다고 한다. 죄수의 살점을 도려내어 다른 죄수에게 먹이는 형벌이다.
공자의 제자 자로도 그런 형벌을 당했다고 한다(얼마전 TV에서 방영된 '공자전'이라는 만화에서도 나온 바있다). 공자는 자신의 제자 자로가 해가 되어, 자신의 밥상에 올라오자 크나큰 충격을 받은 나머지 젓갈을 모조리 엎어버렸다고 한다( 해라는 음식은 인육으로 만든 일종의 젓갈 종류이다).
수호지(이문열氏가 번역한 10권짜리 수호지)에서도 중국의 식인 풍습에 대해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1권 끝 부분에 가면 한지흘률이란 별호를 가진 양산박의 주귀란 자가 자기들 양산박의 법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숨어 있다가 부자가오면 뛰쳐나와 잡아 재산을 빼앗고 그 살은 고기로 먹고 기름은 등잔불을 밝히는 데 씁니다."란 구절이 나온다.
즉, 의적이란 양산박 무리들은 사실은 사람을 죽여 재물을 빼앗고 그 고기를 먹는 극악 무도한 악인들이란 것이다.
그리고 주인공인 송강의 아우인 흑선풍 이규는 사람을 죽이고 나서 그 인육을 먹었다. 나중에는 너무 많이 인육을 먹어서인지 눈알이 붉게 충혈되었다고 한다.
무송이 유배가는 과정에서 들른 주막은 지나가는 여행객들을 죽여 그 고기로 만두를 해서 파는 끔찍한 주점이었다(그런걸 흑점이라고 한다. 최근에 중국 정부에서 폐지 하기까지 그런 곳이 많았다고 한다).출처 - 꿀팁블로그 (https://honeytip.tistory.com/586)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802601023
10만년전 중국 고대인류 식인흔적에대한 기사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식인풍습은 중원을 둘러싸고
벌어진 격한 권력투쟁에 따른 잔혹한
형벌제도의 탄생, 사람을 잡아먹는
형벌이 성문법(成文法) 으로 제정이
된 것,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잦은 기근과 천재지변, 전쟁, 농업기술의 낙후로 인한 식량 부족의 극심함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가 그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법적허용이 된 데다 잦은 기근과 전란의 영향이
겹쳐 식인풍습은 아무 저항감 없이 중국민중에게 뿌리박히게 되었다. 따라서
정쟁이나 전쟁에서 패한 정적, 적국군병 및 국민은 "잡아먹는 고기"가 되는 것이 너무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상황에 따라서는 자국민들까지 대량 징발해
하루에 수 천 명씩 ‘군대식량’으로 사용한 것도 중국역사를 살펴보면 보기 드문 일이 아니었다.
-출처: 레포트샾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식인이 발생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중국 역사에서 일어났던 매우 드문 사건 중 하나였습니다. 식인은 대개 극도의 굶주림이나 전쟁 등 특별한 상황에서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이를 극도로 비난하였고, 중국 문화에서는 이러한 행위가 전혀 인정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