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소탈한하늘소43
소탈한하늘소43
23.04.19

논리를 얘기할때 나오는 변증법이란 무엇인가요?

논리를 얘기할때 변증법적 논리라는 말을 쓰기도 하잖아요, 학창시절에 배운것 같긴한데요, 논리, 철학에서 변증법이란 무엇을 말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23.04.19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변증법은 모순 또는 대립을 근본원리로 사물의 운동을 설명하려는 논리를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변증법적 접근의 목표는 이견을 합리적인 토론으로 해결하는 것입니다. 이들 중 하나인 소크라테스 방법은 하나의 전제가 모순에 도달한다는 것을 보여 전제를 제거하는 것이 진리로 가는 길이라는 것을 주장한다고 합니다. 이견을 해결하는 다른 방법은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저영제와 반명제 전제를 부정하여 제삼의 길인 합명제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정반합의 원리 라고도 하는데 변증법적 사고란, 대립적인 두 극성을 별개의 것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연관의 맥락에서 생각하는 관점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대부분 전자의 관점을 취하는데 대표적인 예가, 이성과 감성의 문제를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 입니다. 반면, “아는 만큼 보이고, 느끼고 사랑할 수 있다”고 깨닫는다면 변증법적 사고방식을 갖게 된 것입니다. 일과 휴식을 상대적이고 반대적으로 바라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관 관계가 있는 관계로 보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