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는 공기 중에서 흐를 수 있을까요?
전기는 전깃줄을 통해서 전기가 이동한다고 알고 있는데 공기 중에서 전기가 흐를 수도 있나요?
일반적으로 생각해보면 공기 중에서는 전기가 흐를 수 없을 것 같은데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기는 전기가 흐를 수없는 절연체로 여겨집니다 공기의 분자들은 전기를 잘 전달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 전기가 흐르는 데 필요한 자유전자들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전기는 일반적으로 전선과 같은 도체를 통해 흐르게 됩니다
그러나 특정조건에서는 공기중에서도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전기방전이라고 불리며 대표적인 예로는 번개나 스파크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공기중의 전기적 저항이 일정 한계를 넘어설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강한 전기장이 공기중에 형성되면 전자와 이온들이 공기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전기장이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공기는 더 이상 절연체로
작용하지않고 전류가 흐를수 있는 플라즈마 상태로 변하게됩니다
이 때 전자는 공기중을 통과하면서 전기적 방전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공기는 전기를 잘 흐르게 하지 않지만 충분히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면
공기중에서도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번개나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전기스파크,플라즈마 등을 통해 관찰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공기는 본래 절연체지만, 충분히 높은 전압이 가해진다면 이온화되어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번개가 있는데, 이는 대기 중에서 전하가 이동하며 강력한 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기는 절연체이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전기가 공기중을 흐를 수 있습니다.
공기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전기를 전달하지 않는 절연체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높은 전압이나 강한 전자 이동이 있을 때 공기는 전기를 전도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번개를 볼수 있으며, 대기 중 높은 전압으로 인해 공기가 이온화되어 전기가 흐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일반적으로전선을 통해 흐르지만, 공기 중에서도 특정 조건에서는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강한 전압이 가해지면 공기의 절연성을 넘어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이는 번개나 아크 방전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기는 절연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공기의 절연 한계를 넘어서는 높은 전압에서는 공기가 이온화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전도체로 변하며 전기가 공기 중을 통해 흐르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전기도 공기 중에 흐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고려해줘야 할 것은 전위차를 존재시킬 수 있냐는 것이며, 안전을 위해 어떻게 장치하느냐도 고려해야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에서는 보통 전기가 잘 흐르지 않지만, 공기가 강한 전압에 의해 이온화되면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번개가 대표적인 예로, 대기 중에서 방전이 일어나며 전기가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특별한 조건(고전압, 방전 등)에서는 공기 중에서도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해보면 공기 중에서는 전기가 흐를 수 없는건 아닙니다. 공기의 절연성이 높아 인간이 느끼지 못할 정도의 미세량이 흐를 뿐이죠.
전자파도 일종의 전기니까요.
감사합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공기 중에서도 흐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공기는 전기가 흐르지 않지만, 높은 전압이 가해지면 공기 중의 분자들이 이온화되어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합니다. 이는 번개가 치는 원리와 비슷하며, 대기 중에 발생하는 전기 방전 현상인 아크방전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전압이 매우 높아지면 공기 중의 절연체 역할을 하는 특성이 깨지고 전자가 공기를 통해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특정 조건에서는 전기가 공기 중에서도 흐를 수 있습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기는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공기 중에서 흐르지 않습니다. 전기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도체가 필요하며, 전깃줄이 이러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러나 충분히 높은 전압이 걸리면 공기가 절연체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이온화되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됩니다. 벼락이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인 예로, 대기 중의 높은 전압이 공기를 이온화시켜 전기가 흐르게 만듭니다. 특히 산업 현장에서는 고전압을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절연에 주의가 필요하며, 공기 차단기 등의 절연 장치로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기본적으로는 흐르지않습니다만
전압이 강해지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그래서 전압에따라 안전거리도 점점 멀어지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