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봉래산제일봉
봉래산제일봉
22.09.24

달러대비 환율은 얼마까지 상승할까요?

IMF, 미국 리먼사태, 코로나19때보다 더 환율상승이 심한데요. 왜 계속 환율이 올라가는건가요? 그리고 달러대비 환율은 얼마까지 상승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
    한울발달상담센터
    22.09.24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만

    당분간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이며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환율이 1450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아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기에 답변이 제한되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IMF당시 우리나라의 달러환율은 장중에 최고 1,986원까지 치솟았었습니다. 그리고 2008년도 리만브라더스 사태 즉 미국발 금융위기 당시에는 1,600원을 돌파하기도 했었습니다. 지금은 그때보다 환율은 낮은 상태이지만 저 당시보다 더 높은 환율로 치고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달러환율이 상승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미국과 한국간의 금리 격차가 벌어지게 되면서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3.25%이며, 한국의 기준금리는 2.5%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1금융권(미국)에서 금리를 3.25%를 주고, 2금융권(한국)에서 금리를 2.5%를 준다고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1금융권(미국)에 예금을 맡기려고 할 것입니다. 당연히 더 안전하고 금리도 높게 주는데 굳이 위험하고 금리를 낮게 주는 2금융권에 맡길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여기서 1금융권에 돈을 맡기기 위해서 2금융권의 돈을 빼서(원화->달러 환전) 1금융권으로 가져가는데(외화유출) 이렇게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다보니 달러강세 즉 환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인상에 대한 회의는 두 국가 모두 2번씩이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9월 22일에 어느정도 연말까지의 금리 가이던스를 제시했는데요. 그 금리는 연말까지 4.5%까지 예상하며 한번의 0.75%금리인상 한번의 0.5% 금리인상 즉 1.25%의 금리인상을 추가로 더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이 미국의 금리를 쫓아가기 위해서는 적어도 1.5%이상의 금리인상을 해야하는데요. 대출이 많은 한국입장에서는 미국의 금리를 쫓아가기 힘든 상황이라서 아마도 1.25%에서 낮게는 1%의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되면 미국과의 금리격차는 더 벌어지게 되며 환율은 연말까지 1,500원에서 1,550원까지 열어두고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의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고강도 금리인상과 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등으로 외환시장에서 달러강세가 커지고 있는데 이미 1400원을 돌파한 환율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서 언론보도등에 따르면 1500원까지도 보는것으로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