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도 하늘에서 충돌사고 나는데 새들도 충돌 하나요?!
비행기는 하늘에서 따로 비행하는 길이 있다고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나는모습이 있더라구요
새들도 새들끼리 충돌할때가 있나요?!
많은 새들이 무리지어서 다니는 모습도 종종 보이던대 그럴경우 충돌하지 않는다면 새들은 어떤 원리로 충돌을 피할수 있나요?!
<새들이 하늘에서 날때 충돌하지 않는 이유>
새들이 서로 부딪치지 않고 한 덩어리로 움직일 수 있는 건 왜일까?
과학자들도 진작부터 이유를 밝히려 나섰지만 최근에야 실마리가 조금씩 풀리고 있다.
이탈리아 등 유럽 7개국 공동연구팀이 10년 전부터 로마 하늘을 떼 지어 나는 찌르레기를 주목한 덕분이다.
연구팀이 고성능 카메라를 이용해 아주 짧은 시간 간격으로 촬영했더니 찌르레기들은 바로 옆 6~7마리의 동작에 민감하게반응했고 그들이 움직이는 대로 따라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면서 곡예비행 편대처럼 너무 접근하지도,
너무 멀어지지도 않은 채 거리를 유지했다. 워낙 순식간에 일어나는 동작이라 무리 전체가 동시에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새들이 빠르게 반응하는 것은 극도로 민감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란 게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바로 ‘임계(臨界)상태’다. 끓어오르기 직전인 섭씨 99도의 물, 무너져 내리기 직전의 모래 더미 같다.
임계상태에서는 열을 조금만 더 가해도, 모래 한 알만 더 떨어뜨려도 상황은 급변한다.
임계상태는 메뚜기 떼에서도 나타난다. 메뚜기 밀도가 높아지고 서로 뒷다리가 자주 부딪치면 뇌에서 ‘세로토닌’이란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이 화학물질 탓에 메뚜기는 성격이 변해 급격히 집단성을 띠고 한 덩어리로 이동한다.
메뚜기 떼가 지나간 곳엔 남는 게 없다.
떼 지어 이동하면 이로운 게 많다. 일단 포식자를 헷갈리게 만든다. 수많은 먹잇감 중 어느 녀석을 목표로 삼아야 할지
고민에 빠지게 해 공격을 피한다. 또 무리 중 약한 새를 보호할 수 있다. 강한 새가 앞에서 날갯짓을 하면 뒤따르는
약한 새는 힘이 덜 든다.
그렇다고 두목 하나가 날아가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닌 모양이다. 군데군데 ‘중간 보스’들이 나름대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끝"
[출처: 중앙일보] 수만 마리 떼로 나는 가창오리, 왜 충돌 안 할까?
결론 먼저 답변해드리자면, 네 그런경우 많습니다.
새들 끼리도 서로 잘못된 경로로 비행하여 추락하는경우도 있고,
새가 유리창을 보지못하고, 그대로 부딪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_3T62RJDYk
궁금하시다면 참고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