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그래디언트 치킨팝
그래디언트 치킨팝24.03.29

붉은빛이 도는 하늘은 왜 그런 걸까요??

종종 하늘이 붉은빛을 띠는 날이 있더라고요.

노을이 질 때가 아닌 뭔가 몽환적인 느낌의 하늘처럼 되던데 어떤 현상때문에 이렇게 하늘이 보이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붉은 하늘을 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대기 중 분자에 의해 더 많이 산란됩니다. 하지만 일출과 일몰 때는 태양빛이 대기를 더 길게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푸른빛은 산란되어 사라지고 파장이 긴 붉은빛만 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이 지평선 부근에 있을 때에는 햇빛이 대기권을 통과하는 경로가 길기 때문에 산란이 잘 되는 푸른색의 빛은 도중에서 없어지고 붉은색의 빛만 남는다. 이 빛이 하층의 구름입자 때문에 산란하면 구름은 붉게 보인다. 대기 중에 미세한 먼지나 연기 입자가 많이 포함된 날일수록 이들 입자로 인한 빛의 산란이 많이 이루어지므로 노을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하늘의 절반 이상이 노을인 날도 있다.

    출처 : 나무위키 - 노을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붉은 빛을 띠는 현상은 대기 중의

    미세 입자들에 의해 발생합니다

    때로는 먼지 화산재나

    산불의 연기가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며

    빛의 산란 현상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태양빛 중에서

    파장이 긴 빨간색 또는

    주황색 영역의 빛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키므로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또한 오염 물질이 공기 중에

    혼합되었을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색상 변화는 주로 해가 질 무렵이

    아닌 낮 시간에도

    뚜렷하게 관찰될 때가 있는데

    이는 대기 중에 일시적으로

    높은 농도의 입자들이 존재하는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태양의 빛이 대기를

    더 긴 경로로 통과할 때

    산란 현상이 더욱 강하게 일어나

    빨간색이 더욱 강조되어 보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하늘의 색은 대기 중의

    다양한 입자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현상은

    일상적인 자연 현상부터

    기상 변화 또는

    극단적인 환경 사건까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벽이나 아침 또는 저녁에 태양이 지평선 가까이 떠있으면서 태양 광선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져 태양 광선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대기 중에서 산란되고, 파장이 긴 빨간색은 산란되지 않아 우리눈에 보이기 때문에 저녁 하늘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녁에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은 빛의 성질 때문이에요. 빛은 빨간색에 가까울수록 파장이 길고, 파란색에 가까울수록 파장이 짧아요. 파장이 짧을수록 빛은 공기 입자에 부딪혀 잘 흩어지는데 이런 현상을 빛의 산란이라고 해요.

    저녁에는 해가 비스듬히 비치기 때문에 태양 빛이 더 먼 거리를 거쳐서 지구에 닿아요. 이때 파란 빛은 먼저 산란되고 파장이 긴 빨간 빛만 남기 때문에 붉은 노을을 볼 수 있는 거예요. 드넓은 우주 속 우리 은하에서도 이러한 빛의 현상이 발생하며, 레일리 산란이 주로 낮 하늘의 파란색과 뜨고 지는 태양의 붉은 색조를 담당합니다.

    빛의 성질은 우리가 하늘의 아름다운 색상을 관찰할 수 있게 해주는 흥미로운 현상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