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빠스타이뷰
빠스타이뷰24.02.16

수학에서 파이라는 숫자는 어떻게 발견된건가요?

안녕하세요 파이는 3.14~~~ 이잖아요 이 숫자가 뒤에 계속 이어지는데 어떻게 이 숫자가 계속 반복적이지 않고 다른 숫자가 나오기도하고 이 숫자를 발견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이는 원주율이라고도 불리며 원의 둘레와 지름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이 숫자는 무한 소수이기 때문에 끝없이 반복되는 소수점 이하의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숫자가 어떻게 발견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했다는 것입니다. 아르키메데스는 원의 둘레와 지름의 비율을 구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이를 계산해본 결과 파이의 근사값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후 다른 수학자들도 이 방법을 발전시켜 파이의 값을 더 정확하게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더 정확한 파이의 값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파이는 수학자들의 노력과 발전을 거쳐 발견된 것이며 현재도 더 정확한 값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잘 알려진 파이의 근사값은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르키메데스는 원의 둘레를 다각형으로 근사하여 파이의 값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이 방법은 다각형의 변의 수를 늘려가면서 원에 점점 가까워지는 근사값을 얻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