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0

뱅크런이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뱅크런이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경기가 어려워지면 뱅크런 현상도 주의해야 한다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요?

뱅크런현상이 무었이고 왜일어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3.01.10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의 경우는 은행에 많은 고객들이 현금을 한 번에 찾으러 오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이야기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은행의 현금 보유액이 대출이나 자금운용등으로 항상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 고객들이 한 번에 자금을 찾으러 오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입니다. 이 뱅크런에 대해서 예시를 들어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 A저축은행은 고객에게 예금 100억원을 받아서 예치

    • A저축은행은 고객의 자금을 PF대출에 투자

    • PF대출의 연체와 부실화 가능성이 언론에 이야기 되기 시작함

    • 고객 B는 불안한 마음에 A저축은행에 맡긴 예금을 찾으러 감

    • A저축은행은 PF대출을 회수해서 B에게 돈을 지급하려고 하나 PF대출이 부실화가 되어서 돈을 회수 불가

    • 고객 B에게 줄 돈을 여러가지 이유를 대면서 지연시킴

    • A저축은행의 돈 지급이 미뤄지는 이야기가 퍼져나감

    • A저축은행에 돈을 맡긴 고객이 전부 몰려와서 돈을 찾아가려고함

    • A저축은행은 돌려줄 돈이 없어서 결국은 파산하게됨

    위와 같은 과정을 보시게 되면 은행은 고객이 맡긴 예금을 한 번에 내어줄 자금을 항상 준비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고객에게 예금을 받아서 예치한 자금은 다른 고객에게 대출을 하거나 혹은 주식,채권, 외환등을 통한 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급준비율이라는 제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고객이 100억원을 맡긴 상태라고 해도 이 100억원을 한 번에 찾아가지는 않기 때문에 은행은 고객이 찾아갈 최소한의 준비금만을 남겨두고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은행은 위와 같이 투자했던 돈[대출]들이 회수되면서 예금을 돌려주는 형식인데 대출이 부실화가 발생하면 은행들은 예금을 맡긴 고객에게 돌려줘야 할 돈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한 명의 경우는 다른 예비금으로 지급하면 되지만 현재와 같이 불안이 고조된 상태에서 위와 같은 발생하게 되면 은행에 한번에 돈을 찾아가려는 사람들이 몰리게 되고 이런 사태를 '뱅크런'사태라고 부르게 됩니다. 뱅크런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은행은 더 이상 살아날 방법이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Bank-run) 혹은 대량예금인출사태는 은행에서 단기간에 예금에 대한 대량의 인출요구가 일어나는 사태를 말합니다.

    뱅크런 사태는 경제가 나빠져 금융시장에 불안감이 감돌거나, 은행의 건전성에 불신이 생겼을 때 발생하곤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이란 은행 예금자들이 동시에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를 말합니다. 금융시장이 극도로 불안하거나 거래은행의 재정상태가 좋지 않을 때 주로 발생하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모든 사람이 앞다투어 예금을 인출하려 하기 때문에 은행들은 당장 돌려줄 돈이 바닥나게 되고 파산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이란 경제위기나 은행위기로 인해 은행에서 단기간에 예금에 대한 대량 인출을 요구하는 사태를 의미합니다.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은행 대출이 부실화 될 위험이 있고 이럴 때 은행은 예금을 못받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인출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