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기운찬재칼262
기운찬재칼26223.05.29

생수병은 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드나요?

생수병이 플라스틱 소재에 담기는데 건강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플라스틱 소재이다보니 나노플라스틱에 대한 문제가 있을 것 같은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수병은 대부분 PET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PET는 PP(폴리프로필렌) 대비 기체 차단성이 50배 이상 뛰어나 이산화탄소를 유지하거나 외부의 산소 차단이 필수적인 탄산 음료나 주스 용기로도 PET를 대체할 만한 소재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PET은 가볍고 튼튼하며 생산 단가가 저렴해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투명하게 만들 수 있어 내용물의 확인에도 유리합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발생할 수 있는데요, 생수병은 작은 PET를 순식간에 부풀리면서 생산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균열로 인해 미세플라스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수병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는 대부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안전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로 만들어진 생수병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부 연구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일부 플라스틱 소재에서 발견된 나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나노플라스틱은 미세한 입자로, 인체 내부에 침투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나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며, 관련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따라서, 생수병 등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안전한 소재로 만들어진 제품을 선택하고, 재사용을 최소화하여 건강에 무해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과 반응하지 않으면서 가볍고 저렴한 소재가 바로 플라스틱입니다.

    물 자체도 무거운데 이를 담는 용기마저도 무거우면 안되기 때문이죠.

    나노플라스틱을 염려가 된다면 정수기를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원가가 가장 저렴합니다.

    500ml 페트병 1개 제작 비용은 약 20원이나, 같은 용량의 알루미늄 캔 제작 시 약 200원으로 10배 차이가 납니다.

    또한, 소비자들이 페트병 음료의 이미지에 익숙한 것도 그 이유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