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4.17

제주도 섭지코지의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다음달에 제주 섭지코지를 방문할 예정인데 문득 섭지코지라고 불리게된 역사적 유래등 알고 가면 아이들에게도 설명을 해주고 조금더 알찬 여행이 될듯 하여 문의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섭지코지의 섭지란, 재사(才士)가 많이 배출되는 지세라는 뜻이며, 코지는 육지에서 바다로 톡 튀어나온 '곶'을 뜻하는 제주 방언이다. 역사나 과학의 배경지식을 갖고 보면 섭지코지를 더욱 풍부하게 관망할 수 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섭지코지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섭지코지의 ‘섭지’는 재사(才士)가 많이 배출되는 지세라는 의미와 좁은 땅을 뜻하는 협지(狹地)에서 유래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 ‘코지’는 바다 쪽으로 튀어나온 땅을 가리키는 곶(串) 또는 갑(岬)의 제주어입니다.

    섭지코지 남동쪽 해안의 선돌바위에 얽힌 전설에 따르면, 이곳에서 목욕을 하던 선녀를 본 용왕의 막내아들이 용왕에게 선녀와의 혼인을 간청하였습니다. 용왕은 백일 후 혼인을 약속하였습니다.

    백일이 되던 날 갑자기 바람이 거세지고 파도가 높아져 선녀가 하늘에서 내려오지 못했습니다. 용왕으로부터 “네 정성이 부족하여 하늘이 혼인을 허락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들은 막내아들은 슬픔에 잠겨 이곳에서 선 채로 바위가 되었다고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섭지코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섭지코지는 바다를 향해 툭 튀어나온 자루처럼 생겼는데,

    끈으로 묶은 것처럼 목이 좁다. 섭지코지라는 지명도 협지(狹地: 좁은 땅)라는 뜻의

    ‘섭지’와 곶(串)이라는 뜻의 ‘코지’가 합해진 제주 방언입니다.


  • 섭지란 재사(才士: 재주 있는 남자)가 많이 배출되는 지세라는 뜻이며,

    코지는 곳을 뜻하는 제주어로,

    섭지코지는 반도 끄트머리의 해안 절벽만을 가리킵니다.

    이제는 반도 전체를 부르는 이름이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자연스런 낭만이 있는 곳이었는데

    지금은 휴양 시설들이 들어선 까닭에 이런 낭만이 없어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섭지코지에서 바라보는 풍광은 황홀 그 자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섭지는 재사가 많이 배출되는 지세란 뜻이며 코지는 곶을 뜻하는 제주어로 본래 섭지코지는 반도 끄트머리의 해안 절벽을 가리키다 반도 전체로 확장된 이름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 방언 ‘좁은 땅’이라는 뜻의


    ‘섭지’와 ‘곶’이라는 뜻의 ‘코지’가


    합쳐져서 섭지코지라하며


    이곳에는 조선시대에


    봉화를 올렸던 연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