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승윤 축복
승윤 축복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과 일본군이 애투섬에서 싸웠다고 하는데 배경이 궁금합니다.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과 일본군이 알래스카 애투섬에서 까지 전투를 벌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일본군이 알래스카까지

침공을 한 것인지 궁금하고 어떻게 진행 되었는지 역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미드웨이 해전에서 패배한 일본군이 원래 작전 계획이었던 양동 작전을 확대해서 소련에 대한 견제와 미 본토를 공격하기 위한 활주로 건설을 목적으로 1942년 6월 7일에 점령하고 이 섬의 명칭을 음차해서 아츠타섬이라고 불렀습니다.

      당시 원주민 알류트인은 수십명만 섬 동쪽에 있는 마을에 살았고, 미군은 여기에 병력을 배치하지 않아 점령은 쉬웠습니다.

      이지역에 거주하던 알류트 원주민 42명은 일본이 이 섬을 점령할 때 일본 홋카이도로 끌려갔다가 식량 부족 및 전염병으로 16명이 사망, 나머지인원은 일본이 패전하면서 살아 돌아왔으나 전투 때문에 마을이 쑥대밭이 되어 더이상 애투섬에 거주하기를 포기하여 무인도가 되었습니다.

      일본군이 애투섬을 점령할 당시 섬에는 원주민들 이외에 미 정부 소속으로 섬에서 통신 및 교육, 보건 담당을 하던 미국인 찰스 포스터 존스와 에타 존스 부부도 있었는데 일본 측 기록에 의하면 남편 찰스는 일본군의 점령소식에 자살했다고 되어있었으나 자살이 아닌 일본군의 점령 소식에 마을의 유일한 통신시설인 무전기를 파괴하고 이후 들이닥친 일본군의 무전기를 수리하란 협박을 거부하자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살되었다는 주정이 제기, 1948년 무덤에서 시신을 꺼내 부검한 결과 이마에서 총격자국이 발견되었으며 아내 에타 존스는 일본으로 끌려갔다 전후 미국으로 돌아갑니다.

      일본이 애투섬을 점령하자 미군은 1943년 5월 상륙작전을 개시해 2천명이 넘는 일본군 수비대를 궤멸시키고 섬을 탈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알래스카의 알류샨 열도에 대한 일본의 침공이 있었는데, 이는 1942년 6월 3일 애투와 키스카 섬을 점령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침공의 주요 목표는 태평양 전역에서 일본군의 주요 진격으로부터 미군을 우회시키고 북태평양 주변에 방어선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일본 침공군은 2척의 항공모함이 이끌었고, 어날래스카 섬의 더치 하버에 있는 미군 기지를 공습했습니다. 초기 공격은 성공적이었고 일본군은 큰 저항 없이 애투와 키스카에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미군은 1943년 5월 알류샨 열도 전역을 시작으로 곧 반격으로 대응했습니다.

      알래스카 사람들은 날씨와 지형면에서 독특한 도전을 제시했고 일본은 섬에 강력한 방어 진지를 준비했기 때문에 캠페인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미군은 일본군의 격렬한 저항에 맞서 일련의 상륙 공격과 지상 공격을 시작했습니다. 특히 아투 섬 전투는 1943년 5월 11일부터 5월 30일까지 지속된 태평양 전역의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 중 하나였습니다. 결국 미군은 아투와 키스카를 모두 탈환할 수 있었습니다. 생명과 자원 측면에서 높은 비용으로. 알래스카 사람들의 침공은 제 2 차 세계 대전 중 외국 군대가 미국 땅을 점령 한 유일한 시간이었습니다.

    • 네, 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군은 1942년 6월부터 1943년 8월까지 알래스카 애투섬을 침공하고 미국군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이 전투는 "애투섬 전투" 또는 "애투섬 작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군은 알래스카를 점령하고 그 지역의 자원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이 작전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미국군은 이를 예상하고 사전에 방어를 준비했기 때문에, 전투는 매우 치열하게 벌어졌습니다.

      전투는 지형적인 조건이 까다롭고 빙하와 야생 동물들이 많았기 때문에, 양측 모두에게 매우 힘든 전투였습니다. 하지만 미국군은 지원 및 보급라인이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결국 알래스카를 지켜냈고, 이전까지 일본군의 대규모 지상전 승리로 인한 자신감을 깨트리는 데 일조했습니다.

      애투섬 전투는 2차 세계대전에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전투 중 하나이지만, 알래스카와 북서부 태평양 지역에서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