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는 과학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근본적인 법칙을 찾는 것과 같이 철학도 세계와 우주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려 한다는 점에서 수평적인 관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학의 과학은 철학이 될수 있지만, 철학의 철학은 또한 과학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떠한 철학적 이론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다면 그 것을 주장했던 철학가는 그 증거를 무시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의 양자역학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철학적 사고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과학과 철학 모두 인간이 수행하기 때문에 모든 것을 증명할 수 없고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면 결국 과학과 철학은 동일한 한계에 도달하고, 그러한 상태에서는 가능하다면 과학은 철학에 철학은 과학에 의지하려고 할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철학은 어떻게 보면 모든 학문의 가장 상위 개념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과학에도 많은 윤리가 있고 과학의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철학적인 개념으로 찾을 수도 있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일통하는 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인류 최초의 과학은 철학에서 시작되었다는 이야기도 있구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에 관한 과학이라는 뜻의 표현. 즉, 과학을 논리학·방법론·사회학·역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거나 서술하는 학문이다. 그 주된 기능은 과학의 언어를 분석하는 일이다. 과학적 경험주의자들은 과학의 과학이 철학의 주된 과제라고 보고, 과학의 논리와 방법론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과학의 근거, 과학적 방법, 그리고 영향력에 대한 철학의 한 분야. 주요 화두는 다음과 같다.
과학의 자격
과학적 이론들의 신뢰성
과학의 최종 목적
다음 예시들이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고전적인 문제들에 해당한다.
과학과 유사과학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과학인 체 하는 것들을 구분할 수 있는 확고한 기준이 있는가? 칼 포퍼가 말했듯 과학은 정말로 반증가능한 것이 전부인가? 흔히 "구획 문제"라고 불린다.
귀납법은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데이비드 흄은 귀납 추론의 합리성을 보이고자 하는 일련의 시도가 순환논법임을 보이는데 성공한 것 같다. 그런데 과학은 귀납법에 의존하지 않는가? 피에르 뒤앙과 콰인이 말했던 것처럼 관찰·실험을 통하여 경험과학 이론을 결정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한가?
과학의 목적은 "실재"를 규명하는 것인가?: 과학의 목표는 "우리 바깥에 실재하는 세계"가 어떠한지를 밝혀내는 것인가? 아니면 과학은 그런 것에 구애받을 필요 없이 관찰·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서 그저 앞으로 벌어질 일을 예측하는데 성공하기만 하면 충분한 것인가? 흔히 "과학적 실재론 문제"라고 불린다.
환원주의?: 생물학은 화학으로, 화학은 물리학으로 환원된다는 것은 흔한 상식이다. 그런데 이 상식은 정말로 합당한가? 애초에 이론 간의 "환원"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뉴욕시립대 철학 교수 마시모 피글리우치에 따르면 과학철학의 목적은 과학을 발전시키거나 과학문제에 답을 주려는 것이 아니며 과학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