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이 되면 유리한 점이 있나요?
안녕하십니까..
뉴스에 인플레이션에 대해 자주 언급이 되더라고요.
인플레이션은 단점만 있는게 아니라 어떤 분야에서는 유리한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올 경우 유리한 득을 보는 사람으로는 실물 자산 소유자가 있습니다.
화폐가치는 하락하고 실물 자산은 가치가 상승하는 현상이 인플레이션으로 실물 자산을 가진 사람이 자산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이익이 커집니다. 부동산이나 채권, 주식 등 가치 상승하는 자산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기업들이 자산 가치 상승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하며, 특히 부동산이나 주식 같은 자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부채를 가진 개인이나 기업은 실질적으로 부채 부담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를 상승시키고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부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을 할 정도로 통화의 양을 증가시킨다면 경제가 활성화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인플레이션 자체를 일부러 유도한다기보다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통화량을 늘리다 보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경제학에선 신용이라는 부채를 이용하고 이를 레버리지로 활용해서 투자와 빠른 경제 성장이 이루어지는 모델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소득이 증가하고 자산가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자산이나 재화 서비스가 증가하며 통화공급이 늘어나는게 당연한 결과입니다
즉 일반적인 경제성장에는 물가 소득이 다 증가하는것이며 이런 물가상승보다 부채를 활용하여 경제 소득 자산증식이 더 빠르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점진적인 물가상승은 소득성장 자산성장이 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가증가하는 현상으로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은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뜻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가치는 점점 증식 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인플레는 이미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장점이 있으며 부채가 있는 사람들은
내가 돈을 빌렸을 때 보다 돈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에 유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