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고급스런허스키134
고급스런허스키134

고깃국 기름이 식으면 굳는 이유가 뭔가요?

저희집은 곰탕을 자주 끓여 먹거든요. 근데 곰탕 먹고 나면 나중에 식은거 보면 기름이 굳어 있더라구요. 그리고 열 가하면 다시 녹는데 기름이 식으면 굳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면 얼음이 되는 원리와 같습니다

      기름은 원래 상온에서 지방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요리등의 이유로 가열하여 녹은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상온에 두었을경우 굳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름이 식으면 굳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고온 고체 - 저온 액체 전이"라는 상태 변화 현상입니다. 이는 물질의 화학적 성질과 상태, 온도, 압력, 그리고 주변 환경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고기를 끓여서 만든 곰탕은 높은 온도에서 오랜 시간 동안 끓여서 곰곰하고 푸짐한 국물을 만들어 내지만, 이 국물에는 동물성 기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기름은 끓이는 동안 국물 위에 떠오르고, 온도가 낮아지면 기름은 굳어지면서 곰탕의 표면에 덮이게 됩니다.

      기름이 식으면 굳는 이유는, 기름 분자 사이의 인력이 높아져서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때 분자 간의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름 내에 있는 지방산이 어느 정도 결정화되어 굳은 형태를 이룹니다.

      기름이 다시 녹는 이유는, 열을 가하면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고,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기름 분자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기름 내부의 결정화된 지방산이 용해되면서 녹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곰탕을 먹은 후 식은 상태에서 기름이 굳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며, 열을 가하면 다시 녹습니다. 다만, 기름이 많이 굳어져서 곰탕이 먹기 어려울 경우에는, 냉동고에서 곰탕을 얼려두고, 먹기 직전에 전자레인지나 냄비에 데워서 기름을 녹인 후 먹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름은 물과 상반인 형태이기 때문에 식어가면서 기름이 뜨며 응고되는건데요

      끓였을 땐 물과 기름의 온도가 모두 올라가기 때문에 섞이는 거구요

      다만 끓였을때도 기름이 뜨는 경우가 있죠?

      그게 물과기름이 상반된 형태이기 때문에 끓는 점이 달라서 그런거에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쇠고기 사이사이에 껴있는 지방이 굳어서입니다.

      반 이상이 이미 밖으로 배출된 상태이지만,

      그럼에도 쇠고기 사이에는 아직도 많은 쇠고기 지방이 껴있는데,

      이게 온도가 낮아지면서 굳은것이죠.

      전자렌지에 1~2분 데워서 드시면 저절로 부드러워집니다.

      그냥 드시면 소화도 안되고 ....

      반드시 전자렌지에 1분여 정도 데워드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