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에서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기 위해 추진중인데 세계국채지수(WGBI)에 편입되면 좋은 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현재 우리나라 경제정책으로
올해 9월에 세계국채지수 편입되기 위해 추진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IB 고위 담담자들도 우리나라의 세계국채지수 편입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졌다고 하던데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면 우리나라 경제에는 어떤 긍증적인 영향들이 있을 수 있나요?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각각 우리나라 경제를 기준으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wgbi 편입시 장점은 아무래도 지수추종 자금이 국내채권시장에 유입되니 국채금리 하락으로 채권금리안정화와 대외신뢰도 상승이 있을수 있죠 단점은 역시 환율변동성이 커질수 있는거 정도 아닐까 싶네요
✅️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면 그만큼 우리나라의 국채가 대외 신인도를 높이는 것이 되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자금이 더욱 유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으나, 그만큼 글로벌 룰을 더 엄격하게 따라야 하고 이에 따른 투명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 나름의 규제, 질서를 따라야 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한국의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면 주어지는 장점에 대한 답변입니다.
세계국채지수 (WGBI) 에 편입이 되면 장기성향의 민간 부분의 투자자금이
한국으로 더 많이 유입될 수 있고 더불어 금리 상승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에 영향을 미치며
원-달러 환율를 내리는 것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동시에 금융시장의 안정성 제고에도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 금융 시장의 규모와 유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국제 신용평가기관들의 평가를 받아 신용도가 높아지며,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자금 조달이 용이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은 국채 시장 안정, 국제 경쟁력 강화, 투자 기회 확대, 금융 시장 발전, 경제 성장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채 금리 변동성 증가, 단기적인 환율 변동성 증가 등과 같은 잠재적인 부작용도 존재하기 때문에,
정부와 기업은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WGBI 편입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위와 같은 세계국채지수에 우리나라가 편입된다면 이에 따라서 세계 여러 기관과 외인들의
자금이 들어오기에 우리나라 국채 시장 자체가 성장할 수 있습니다.
세계국채지수는 세계 3대 채권지수로서 미국 영국 일본등 주요 국가들이 편입되어 있습니다.
해당 지수를 따르는 금액이 상당히 큽니다. 그래서 이 지수에 편입됨으로써 추가적으로 들어오는 자금이 상당히 큽니다.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 드리면
우리나라가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된다면 외환 위험이 감소하고, 국가 신용 등급이 향상되고 자본 유입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는 것은 국가의 채권시장에 대한 국제적 신뢰와 인정을 받는 것입니다. 이로써 해당 국가의 채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국제적인 자금 유입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른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면 해당 국가 채권에 대한 투자가 더욱 쉬워지고 접근성이 향상됩니다.
==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면 국내 채권의 금리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정부나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의 이자 비용을 감소시키고, 국가의 채무 관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면 국가의 재정 건전성과 신용 등급이 인정받게 됩니다.
==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면 국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져 국내 금융 시장에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이는 국내 증권 시장의 활성화와 투자 기회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세계채권지수(WGBI) 조속한 편입을 위해 제도개선을 이어나가는 한편 유동성 확대 등 국채 시장 활성화 노력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세계 3대 채권지수 중 하나로 꼽히는 WGBI에는 미국·영국·캐나다·일본 등 주요 24개국 국채가 편입돼 있습니다. 이 지수를 따라 투자하는 자금 규모는 약 2조5천억달러로 알려져 있습니다.세계국채지수 최종 편입 시 지수 추종자금 유입에 따라 약 50조~60조원의 외국인 자금이 투자될 전망이며, 자금 유입에 따른 국채시장 안정 및 정부 조달비용 절감이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