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최근 미국 채권 금리가 왜 이렇게 높아졌나요?

어제 미국 30년 장기 채권 금리를 보니 4.8%를 넘어섰더라고요..

미국 기준금리도 4.5%인데 왜 이렇게 국채 금리가 높은건가요?

지금 미국에서 대출받아 채권사면 무조건 이득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최근 미국 채권 금리가 이렇게 높아진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미국의 채권 금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바로 향후 기준 금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30년 만기 국채 금리가 4.8%를 넘어선 이유는

    미국의 경제 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 침체의 우려가 완화되었기 때문 입니다.

    이러한 경기 호조는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킬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기 때문에 장기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미국에서 대출을 받아 국채를 구매하는 전략은 현재로써는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장기적으로 볼때 2%대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면 무조건 수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미국국채는 달러로 받기 때문에 달러의 환율이 낮아지면 손실이 생길수 있다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 현재 미국 채권금리가 높은 이유는 기준금리도 높지만 앞으로 채권이 더 많이 발행되기 때문에

      발행이 늘어나다 보니 금리가 상승하게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대출금리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기준입니다. 즉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를 통해서 +@로 정해지는것이며 이때문에 대부분의 금리가 7~8%입니다. 즉 미국에서 대출을 받아서 채권을 사면 무조건 이득인 구조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미국의 채권금리가 높아진 이유는 우선 트럼프의 효과가 컸습니다. 트럼프의 당선확정이후 미국의 관세와 무역장벽으로 수입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한 시장금리 상승압박으로 다가오게 된것입니다. 거기다 트럼프의 재정확대를 통한 재정정책은 미국채의 신규 발행이 늘어나는 요소이고 이로 인한 심리적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하게 된 요인으로 반영되었습니다.

    거기다 얼마전 연준의 파월의장이 최근 수요인플레이션이 강해서 올해 기준금리 인하는 생각보다 어렵다고 발언을 하였으며 또 최근에는 CPI가 3%가 나오면서 시장금리를 상승시키는 요소로 작용시킨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만 해도 올해 미국 기준금리를 예상하길 2-3회정도 인하를 할거라는게 지배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올해와서 미국 경제전문가들 예상이 올해 1회 인하를 예상하고 시기도 올해 4분기로 예상을 합니다

    그러니 예상보다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줄었고 시기도 4분기로 늦어질거 같으니 미국채 금리가 오른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대출받아서 미국채 사긴 대출금리가 높아서 남는게 없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발표된 미국 CPI, PPI 지표를 보면 인플레이션 발생 우려가 커졌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어서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것입니다. 지금 채권을 산다고 해서 무조건 이득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수익을 볼 수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