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4.01.23

우리 인류는 언제부터 하루에 세끼를 먹었는지 궁금합니다

최초에 인간들은 하루에 세끼를 먹지 않고 배가 고플때마다 무언가 먹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요 우리 인류가 하루에 세끼를 먹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하루 두끼 식사가 일반적이었으며 우리 민족에게 식사를 뜻하는 단어는 아침과 저녁을 가리키는 조석만 있었다고합니다. 고려 중 기 송나라 사신이 쓴 고려도경을 보면 고려 사람들은 하루에 두끼를 먹는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1700년대 조선 시대에 점심 식사의 개념이 사용되었으며 순조 때 실학자인 이규경은 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2월부터 8월까지 일곱 달 동안만 점심을 먹기 시작하고, 해가 짧아지기 시작하는 9월의 추분날부터 이듬해 정월까지 다섯 달 동안은 점심을 폐하고 조석 두끼만 먹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출퇴근 문화가 시작되면서 점심이 제대로 된 한 끼 식사로 대접받게 되었으며 근대화·산업화 시기에 기업은 노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고 그 과정에서 아침과 저녁 사이에 통일된 식사 시간을 만들었으며 이를 점심으로 불렀다고 합니다. 기업 문화가 일상으로 확대되면서 점심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의 영향으로 삼시세끼가 유행처럼 번졌다고 합니다.

    1일 3식은 1800년대 부터 확산됐다. 동양과 서양이 비슷했습니다. 조선과 청나라 일본은 이 시기에 농업생산성이 크게 높아졌다. 점점 하루 두 끼에서 세 끼를 먹는 사람이 늘어났습니다. 산업혁명으로 경제력이 크게 커진 서양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에디슨의 1일 3식 발언은 대중들에게 심리적 자극을 하기에 충분했습니다.

    에디슨은 하루 세 끼 식사의 기폭제 역할도 했습니다. 기자가 사업가이자 발명가인 에디슨에게 물었다. “당신은 어떻게 빼어난 두뇌를 갖게 되었나요.” 이에 에디슨은 ‘하루 세끼 식사“라고 답했다. 1910년대 중반에 신문 기사를 접한 미국 시민들은 1일 3식을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습니다.
    그의 발언은 자신이 소유한 전력회사와 개발품인 전기 토스터 매출 증대 포석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두 끼로 만족하던 사람들이 한 끼를 더 먹으면 전기와 토스터 판매가 늘 것이 자명하기 때문입니다.
    조선과 청나라 일본은 이 시기에 농업생산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점점 하루 두 끼에서 세 끼를 먹는 사람이 늘어났습니다. 산업혁명으로 경제력이 크게 커진 서양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에디슨의 1일 3식 발언은 대중들에게 심리적 자극을 하기에 충분했습니다. 대중 스타인 에디슨은 1일 3식의 시대 흐름에 부채질한 셈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간과 같은 경우에는 대략 유럽에서는 16세기 정도부터

    하루에 3끼를 먹기시작하였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농업 혁명 이전의 인간들은 사냥, 채집을 통해 얻은 식량을 먹으면서 불규칙한 식사를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농업 혁명이후에는 농경사회가 발전하면서 작물을 재배하고 가축을 기르며 일적한 식사 습관이 형성 되었습니다.

    하지만 식습관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크게 다르며, 일부 지역이나 문화에서는 여전히 하루에 세 끼를 먹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루 세 끼는 송나라 이전에는 백성들은 하루에 두 끼만 먹었으나, 황실에 사는 사람들은 하루 네끼를, 제후들은 하루 세 끼를 먹었던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