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알뜰한복어6
알뜰한복어621.12.28

진통제에 카페인이 있는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시중 진통제 들을 보면 아세트 아미노펜 성분 혹은 NSAIDs성분에 카페인이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진통제에 카페인이 들어있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상승효과가 있는것인지 혈관을 수축하는 효과가 있는것인지 아니면 흡수력이 빠르다던지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민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것처럼 게보린이나 그날엔과 같은 진통제에는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진통제에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의 작용을 빠르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카페인은 진통제의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각성제 및 흥분제로써 작용하여 진통효과가 잘 듣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진통제에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는 제품이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1 진통제에 카페인이 첨가되어 있는 경우 진통작용을 갖는 주성분의 작용을 빠르게 해주는 효과가 있고,

    같은 효소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대사를 방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카페인은 각성제, 흥분제의 역할을 하기때문에, 정신이 맑아지는 효과 또는 통증에 무뎌지는 효과도 있고요


  • 안녕하세요. 박희재 약사입니다.

    1. 혈관수축 작용으로 두통의 완화효과

    2.약물대사 효소에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약물성분의 대사를 방해하여 효과 증진

    3.카페인의 중추신경 자극으로 인한 통증완화효과

    이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진통제에 카페인이 들어 있는 것은 진통제 성분의 흡수와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때문입니다.

    즉 카페인으로 인하여 진통제 성분의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여러 논문에서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의 진통효과를 높여준다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약물의 흡수율을 높여주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진통제에 카페인이 간혹들어가 있는 경우는 부스팅 효과를 노리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약에 대한 효과를 늘리기 위함입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아세트아미노펜과 카페인이 같이 들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페인이 아세트아미노펜의 흡수율을 높여 진통효과를 좋게해줍니다.

    2. 이부프로펜과 카페인도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크게 작용하는 건, 카페인 고유의 강심효과입니다.

    감기증상이 있어서, 혹은 감기약 때문에 가라앉는 증상을 덜어주며

    졸음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카페인의 경우

    혈관의 수축 이완을 돕기 때문에

    편두통에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각성효과도 어느정도 작용을 하나

    장기복용시 효과가 떨어지거나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대표적으로 펜잘이나 게보린에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과 카페인이 함께 함유되어 있으며 카펜인의 경우 혈관을 수축하여 혈관확장성 두통증상 완화에 일부 도움을 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아시는것처럼 카페인은 각성작용을 하기도 하고 혈관수축을 통한 진통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미국에서 카페인은 단일성분의 약으로도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보통 통증이 발생하여 사용하는 진통제에는 아세트아미노펜 함유된 해열진통제 이외에 카페인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카페인은 혈관을 수축하고, 일부 진통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첨가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통이나 두통에 상승효과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

    보통 NSAIDs 성분에는 카페인이 함유되지 않고, 아세트아미노펜 성분과 무수카페인이 함께 함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수 카페인을 같이 함유하는 것은 말씀하신 것처럼 아세트아미노펜의 진통 효과를 강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카페인 자체가 혈관 수축에 영향을 주므로 편두통과 같은 혈관의 확장과 관련된 두통에 일시적인 완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카페인의 각성효과로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두근거림, 속 쓰림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심장 질환자 및 위장이 약한 분들은 가능하면 카페인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제품으로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