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추천과 좋아요는 정말 큰힘
추천과 좋아요는 정말 큰힘23.08.09

오로라현상을 아무곳에서는 볼수가 없는건가요?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저녁에 아름다운 오로라를 볼수있는데요 극지방을 가야먄 볼수있는 오로라는 왜 아무곳에서나 관측이 안되는걸까요?

어떤 이유로 오로라는 극지방쪽에서만 관측이 가능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1. 지리적 위치: 오로라는 지구의 극지방에서 볼 수 있으므로, 북극 지역이나 남극 지역에 가까운 곳에 있어야 합니다.

    2. 계절: 오로라는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더 자주 관찰됩니다. 이는 밤이 길고, 하늘이 어두운 겨울철에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작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3. 태양 활동: 오로라는 태양에서 발생하는 태양풍과 지구의 자기장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됩니다. 따라서,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오로라 활동 또한 증가합니다. 태양 활동은 태양 흑점의 유무, 태양풍의 세기 등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어두운 장소: 오로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어두운 장소가 필요합니다. 도시의 빛이나 인공 조명이 없는 극지방이나 원격 지역에서 오로라 관찰이 더 쉽습니다.

    5. 맑은 하늘: 구름이 없고 맑은 하늘일수록 오로라를 더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위의 모든 조건이 맞아야 오로라 관찰이 가능합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에 의해 극지방으로 유입되어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입니다. 오로라는 극지방에서만 관측이 가능한 이유는 지구의 자기장이 극지방에서 가장 강하기 때문입니다


  • 오로라 현상은 지자기 극 지역에서 주로 관측되며, 즉근 극권과 극권 주변 지역에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에서 나오는 소행성 입자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데, 이러한 조건이 주로 극지역에서 맞추어지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오로라를 볼 수 있는 확률은 낮습니다.

    오로라를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지역은 북극 빛의 창 (Auroral Oval) 및 남극 빛의 창입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에서 나오는 입자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오로라가 발생하며, 밤하늘에 아름다운 빛의 표현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오로라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진다면, 극권과 비슷한 낮은 경도의 지역에서도 가끔 오로라를 관측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로라를 정말로 감상하고 싶다면 북극이나 남극에서 관측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발생한 태양풍과 지구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극지방은 자기장이 더 취약한 지역으로, 태양풍과 자기장의 상호작용이 극지방에서 더 강력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오로라의 활동이 더 두드러지게 관측될 수 있습니다. 태양풍에 포함된 입자들은 지구의 자기장을 따라 이동하며, 자기장의 극지방으로 향하는 경로를 따라 집중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극지방 주변에서 오로라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행성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행성 자기장에 의해 나선 운동을 합니다. 우주선은 나선 운동을 하며 극지방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와 같은 위도에서는 자기장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볼 수 없습니다.

    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이 달라져 오로라의 색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