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향기로운딱따구리238
향기로운딱따구리23824.04.10

미국은 선진국인데 요즘 경제가 왜 안 좋은 거죠?

요즘 미국도 우리나라처럼 경제가 많이 안 좋은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미국 같은 경우에는 엄청난 선진국인데 요즘은 왜 경제가 안 좋은 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경제가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인플레이션

    - 2022년 이후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은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 경기 부양책, 공급망 병목,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졌습니다.

    - 인플레이션은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려 소비 위축을 초래하고, 기업 수익성도 악화시킵니다.

    2. 급격한 금리 인상

    -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연준은 2022년 3월부터 급격한 금리 인상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 기준금리가 2022년 0.25%에서 2023년 5.25%까지 상승하였습니다.

    - 금리 상승은 차입 비용을 높여 기업 투자와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3. 자산 가격 조정

    - 그동안 낮은 금리 환경에서 부양된 주식,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은 금리 인상 등으로 조정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 자산 가격 하락은 부의 효과를 통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글로벌 경기 둔화

    -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도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으로 경기 둔화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 글로벌 수요 위축은 미국의 수출 부진으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제한하는 요인입니다.

    5. 정책 불확실성

    - 정부 부채 한도 협상, 규제 변화 등 정책 불확실성도 경제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6. 구조적 문제

    - 소득 불평등 심화, 인구 고령화 등 구조적 문제도 장기적으로 성장 잠재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미국은 선진국 중에서도 경제 규모가 크고 글로벌 금융의 중심지로서, 대내외 경제 여건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에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의 충격이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다만 기술 혁신, 산업 경쟁력 등 미국 경제의 기초 체력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평가되며, 정책 대응과 대외 여건 개선 등에 따라 회복 속도는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경제는 현재 너무 좋아 탓입니다.

    • 실업률도 줄어들고 주가시장도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 특히 ai관련 주도기업이 대부분 미국에 있어 경제를 이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엥도 현재 경기가 회복세에 있으나

    예상외로 물가가 잡히지 않고 있어 어려움이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요즘 경제가 안좋은게 아니고 좋습니다 그래서 금리인하를 바로 못하는거졍!!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안 좋은 이유는 물가 상승률에 비해 임금 상승이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에 가게 서민 경제가 안 좋아집니다.

    지금의 미국은 지속적인 금리 인상 후에 금리 동결 중이라 높은 금리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여 경제가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고금리로 인한 비용증가로 경기가 침체중이고 특히 선진국인 미국 유럽이 금리인상을 크게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잘못알고 있으신것 같네요. 미국 경제는 역대급 호황입니다. GDP 성장율이 4% 이상으로 신흥국인 한국보다도 몇배나 높습니다.

    그리고 실업율도 3%대로 거의 완전 고용상태로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제가 지금 좋은 것은 AI반도체의 성장으로 인한 반도체 업계의 호황과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소비침체가 발생해야했으나 고정금리 비율이 90%이상이다 보니 소비가 침체되지 않았던 점이 변수로 작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고정금리 비율이 높은 상황에서 코로나 시기에 지원한 보조금의 대부분을 저축하였고 금리의 인상시기에 국민들이 보조금 저축금을 소비하면서 여전히 소비 강세를 보였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미국 경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질문하신 것과는 다르게 현재 미국 경제의 상황은

    나쁘지 않고 좋습니다.

    미국 증시도 역시 튼튼하며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첫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충격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두번째, 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실업률이 높은 상태입니다. 세번째,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과 관세 부과로 인한 무역 불균형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네번째,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으로 인한 경기 둔화가 우려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