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이후 부작용 문제에 대해
백신 접종 이후 치매에 걸리거나 사망하는등 부작용이 심각한데
화이자나 모더나에서 이러한 부작용이 개선된 백신을 새로 내놓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개발중인가요?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약물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수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따라서 현재 최선의 방책은 부작용을 감안하더라도 기존의 백신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이후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하며 문제가 되긴 하나 새로운 약물을 내놓지 않는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 제약 회사에서 열심히 개발 중이나 아직 이렇다 할 발견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백신의 개발에는 많은 재화가 듭니다.
그 과정도 복잡하며 승인을 위해서는 개발과 임상실험 등의 여러가지 복합적인 것들을 해결해야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백신 접종시에도 개개인마다 면역체계 및 체질이 다르기에 백신 접종후에 다른 반응이 나타나기에 예측이 어렵습니다. 백신 접종후에 면역반응에 의해 접종부위 통증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증상이 흔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최근에 개발된 노바백스 백신이 안전성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허가가 나는 경우 상용화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어떤 백신이든 부작용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새로운 변이가 발생하면서 기존백신의 예방효과가 감소하였기 때문에 화이자와 모더나 둘다 새로운 변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연구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맞고 혈전이나 심근염이 생길수 있는 극히 드문 부작용이 보고 되고 있지만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보다 코로나 감염으로 생기는 후유증등을 예방하는 확률이 월등하게 높기 때문에 접종을 하는것을 권유해요.
백신이 몸에서 작용하는 방식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백신으로 생기는 불편감은 증상을 줄이는 대증적인 치료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일단 치매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즉 정확한 인과관계를 따져야 이것을 개선한 백신을 개발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어떠한 이유로 치매가 걸리는지 그리고 사망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을 알지 못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을 개선하여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부작용이 심각한데 부작용이 개선된 백신을 개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현재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이상반응이 백신과의 인과성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만약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이라면 mRNA백신 플랫폼 자체가 문제가 되었을 가능성이 큰데, 이렇다면 아예 처음부터 백신을 새로 개발해야할 가능성이 높으며, 백신을 새롭게 개발하는 것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어떠한 백신이라고 하더라도 부작용 및 후유증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치매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부작용이 있지만 이러한 것들이 흔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코로나 백신이 아닌 다른 독감,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시에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즉 현대 의학의 한계라고 보시면 되고 아직까지 면역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들이 많지 않아 백신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다양한 부작용 등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노바백스 백신은 재조합 백신은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만든 항원 단백질을 직접 주입해 면역반응 유도하는 방식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신 플랫폼이다. 재조합 항원 단백질만으로는 면역반응이 낮을 수 있어 일반적으로 면역증강제(알루미늄염 등)가 포함된 제형이 필요하다. 오랜 기간 사용으로 안전성이 높은 백신으로 알려져 있다.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10718218068067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백신 이후에 부작용이 개선되는 백신을 새로 내놓을 때에는 경제적인 부분이 더 손해가 크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고,
오미크론에 대한 백신을 연구하는게 더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최근 백신 접종에 대한 불안감을 조장하는 뉴스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코로나 감염 사망자가 훨씬 더 많습니다.
코로나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하기 위해서 백신 접종은 필요합니다.
백신을 맞지않은 사람들의 경우 중증도가 심각하기에
백신 접종을 하여 중증 위험도를 낮추고 면역을 올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맞으시고 자주 오시는 건
주사한 부위에 통증이 제일 많고
그 외에 발열, 두통, 몸살, 근육통이 같이 있을 수 있으며
호흡이 가빠오거나 메스꺼움, 구토증상까지 있을 수 있습니다
여성분들은 피부 발적, 가려움, 알레르기 증상이 같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현재 나온 백신으로 치매가 발병한 사례는 없으며
백신 성분이 BBB(혈액뇌장벽 blood-brain barrier)에 막히기 때문에 뇌까지 전달되지 않습니다.
즉 백신은 치매를 유발시키지 않습니다.
이후에 나오는 백신은 단백질 재조합 방식의 백신으로 가장 전통적인 백신 형태이며
mRNA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에는 드물게 지방 운반체에 의한 알레르기, 또는 심근염이나 심낭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단백질 재조합 방식의 백신은 이러한 부작용이 낮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현재 개발된 백신은 mRNA나 바이러스벡터를 활용한 백신으로 이러한 백신은 아무래도 단백질백신/생백신/사백신들보다는 부작용 발생비율이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부작용 개선된 백신을 개발하려면 장기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현재 부작용 개선된 백신을 연구하고 있긴 합니다.
현재 출시된 백신 중 부작용 개선된 백신은 노바백스 백신 정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화이자와 모더나 둘다 오미크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개량된 백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화이자는 빠르면 내년 상반기에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한지 두달정도이니 백신이 뒤늦게 나올수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모든약에는 부작용이 잇으며 부작용만 타겟하여 없애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