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날으는 망고
날으는 망고24.01.31

달의 색깔이 붉은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인지 궁금해요

저번주 언젠가 달을 봤는데 약간 붉은 끼가 돌더라고요. 달의 색깔이 이렇게 다르게 보일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해요. 혹시 노을 때문일까요? 제 추측이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을 때문은 아닙니다.

    하지만, 원인은 노을과 비슷합니다.

    보통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에 놓이면서 달은 태양 빛을 직접 받지 못해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태양 빛 중 파장 짧은 푸른 빛은 흩어지고 파장이 긴 붉은 빛이 지구 대기를 거쳐 달에 전달되면서 붉은색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지구의 대기권 때문입니다. 지구의 대기권은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산란된 빛 중에서 파란색 빛은 더 많이 산란되어 지구의 주변을 덮게 됩니다.

    하지만 노을이나 일출 일몰 시간에는 태양의 빛이 지구를 통과하는 거리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지구의 주변을 덮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달도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달의 주변을 덮게 됩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달의 색깔이 붉게 보이는 다른 이유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는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면서 달의 색깔이 어둡게 보일 수 있습니다. 또는 달의 표면에 있는 먼지나 화산재 등이 달의 색깔을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다른 이유로는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거나 달의 표면에 있는 먼지나 화산재 등이 달의 색깔을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지구를 감싸고있는 대기층 때문입니다

    태양빛이 지구 대기층을 지남녀서 산란이 잘되는 푸른빛은 달에 도달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대기를 잘 통과하는 붉은 빛이 달까지도달해 달이 불게 물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가 프리즘역할을 하여 태양 빛이 지구 안쪽으로 굴절하게 되고 스팩트럼의 붉은 구간으로 달이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까이 있는 상태에서 개기월식이 일어난다면 달은 푸른색이 될 것으로 추측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색깔이 붉은 것은 주로 달이 지표에 있는 먼지와 대기의 산란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구의 대기 중에 있는 먼지와 대기 분자들이 태양 빛을 산란시키면서 파장이 긴 빨간색 빛이 달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달은 붉은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