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23.11.14

첫눈이 온다는 개념은 눈이 얼마나 내렸을 때를 기준으로 하나요?

첫 눈이 온다는 것은 상당히 낭만적인 말인 듯 합니다. 기상예보에서 첫눈이 온다는 개념은 눈이 얼마나 내렸을 때를 기준으로 하나요? 눈이 한두 방울(?) 날리기만 하면 첫눈으로 인정되나요? 아니면 바닥에 얼마이상 쌓여야 첫눈이라고 인정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5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첫눈의 인정 기준은 과학적인 적설량이나 눈이 내린 시간이 아닌 대기에 있는 눈송이 확인 유무인데요.

    지역마다 있는 기상청 관측소에서 관측관이 육안으로 눈을 봤을 때만 공식적으로 첫눈으로 인정된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 첫눈의 기준은 과학적인 적설량이나 눈이 내린 시간이 아닙니다.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기상청에 따르면 대기에 있는 눈송이 확인 유무인데요, 지역마다 있는 기상청 관측소에서 관측관이 육안으로 눈을 봤을 때만 공식적으로 첫눈으로 인정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첫눈이 온다는 개념은 기상학적으로 정해진 기준이 없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는 눈이 지면에 적어도 1cm 이상 쌓이는 경우를 첫눈으로 인정할 수 있어요. 하지만 눈이 많이 내리지 않는 지역에서는 눈이 적게 쌓여도 첫눈으로 인정할 수 있어요. 그리고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눈이 적게 쌓여도 첫눈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어요.

    따라서 첫눈이 온다는 개념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고 눈이 얼마나 내렸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눈이 쌓이는 양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야 해요. 이런 이유로 첫눈이 온다는 개념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첫 눈의 개념은 지역 및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첫 눈은 눈이 처음으로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눈이 얼마나 내려야 첫 눈으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눈이 한두 방울이라도 내리면 첫 눈으로 여기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는 눈이 일정한 두께로 쌓여야 첫 눈으로 인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지역의 기후 조건과 관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상 예보에서는 일반적으로 첫 눈이 오는 조건을 눈의 양으로 판단하지 않고, 눈의 발생 여부를 예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눈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예보가 발표되며, 눈이 얼마나 많이 내릴지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