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동으로 아이가 자랄때 아이의 부모의존도는 많이 높을까요?
아이가 외동으로 혼자 자라게되면 의지할 곳이라고는 부모밖에 없을것같은데
이렇게 될 경우 아이가 부모에대한 의존도가 많이 높아질까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외동으로 자란 아이라도 성향, 자란환경에 따라 독립적인 아이로 자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형제관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중요한 것은 안정성과 지지를 제공하면서 아이가 독립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아이는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독립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부모는 지원하고 부모의 독립성과 아이의 독립성을 존중하면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외동일수록 부모에 대한 의존이 클수도 있으나 - 아이가 사춘기가 되고 친구들관계를 잘형성한다면 - 부모에게 의존을 그렇게 하지 않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외동아이가 크면서 더 많이 보호 받고 응석받이로 자라나는 건 어쩌면 당연한 것 같아요 - 부모님이 자녀에게 큰 관심과 보살핌을 준다는 뜻이지요 - 그렇다고 모든 외동아이가 이기적인 것은 아닌 것 같아요 - 자라는 환경과 부모님의 가르침에 따라 인성이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무래도 외동이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경향이 있으나 다 그렇지만은 않아요. 자율성을 키우기 위해 아이가 원하는 것을 스스로 해결하도록 상황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구요. 외동아이의 인성교육에 있어서도 부모의 말과 행동, 솔선수범해 차례 지키기, 고운 말 사용하기 등을 실천하며 기본예절을 아이에게 가르쳐주고 문제가 있다면 바로 지적하고 수정해 주는게 좋아요. 그리고 아이가 주어진 일을 잘 했을 때는 바로 칭찬이나 보상을 해주는 것이 좋고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키우려면 아이가 흥미로워하는 적절한 자극을 줌으로써 호기심을 가지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의지할 사람이 집에 - 부모님 밖에 없는 상황이라 - 부모님에 대한 의존이 심해질 수있어서 - 독립심을 키워줘야 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무래도 외동인만큼 - 아이가 형제자매에 의존할 수 없어 -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어릴 땐 혼자 자라므로 미취학 아동일 땐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지만, 초등학교에 - 들어가면서 부터는 문화가 바뀌게 되므로, 부모에게 크게 의존하지 않는 답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어렸을 때는 아무래도 부모 의존도가 높습니다. 혼자 놀지 않고 부모가 놀이상대가 되어주기를 바라고 무엇을 하든 부모와 함께 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성향과 부모가 어떻게 교육하느냐에 달린 것이기에 일반화 할 수는 없습니다. 아이와 충분히 감정적인 교감을 하면서도 아이가 해야 할 일은 스스로 할 수 있게 교육하신다면 독립적으로 잘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외동의 경우 양육환경에따라다를수있답니다. - 부모가자립성을키우면자립적인고 그렇지않으면의존이 높을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스스로 무언가 해결 하는 능력을 길러주세요. - 자주 소통하며 자신감을 길러주시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무조건 해결해주기 보다는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도록 - 도움을 주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기질에 따라 다릅니다. - 외동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부모에게 의존되는 경향이 더 많다 라는 고정관념을 버리셔야 합니다. - 또한 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케어하느냐에 따라서 의존도는 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