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진보다 크라운치료가 더 나은가요?
좀 질긴거 먹으면 뻐근한정도인데, 치과에서 어금니에 금갔다고 하네요.
그러면서, 레진은 예후가 좋지 않다면서, 크라운치료 받으라는데 괜찮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 금이 간 경우에는 레진으로 치료하기 보다는 크라운치료를 하여 치아를 보호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 금이 간 경우라면 레진이 아닌 크라운 이상의 치료를 해야 합니다. 금의 정도에 따라서는 크라운을 하더라도 증상이 있을 수 있고, 신경치료를 넘어 치아 발치까지 생각해야 할 수 있습니다. 금은 단순 레진 치료로는 불가능합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 단순비교하는게 어렵습니다. 간단한 충치치료라면 레진으로 하면되고, 범위가 넓으면 크라운 치료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치과의사입니다. - 레진이 낫네 크라운이 낫네 이런 식으로 따지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 왜냐하면 환자의 치아 상황에 따라 필요한 진료가 다른 것이지 - 크라운이 우수하고 레진이 성능이 떨어지고 이런 것은 아닙니다. - 일반적으로 크라운은 우식 부위가 크거나 크랙이 있을경우의 적응증이며 - 레진은 작은충치의 적응증입니다. - 금이 갔다는 것은 크랙에 해당됨으로 치과 선생님께서 크라운을 권하셨다면 아마 그것이 맞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 치아에 금이 간 경우에는 치아가 약해지고 통증이 유발되기에 금이 간 정도가 심한 경우 신경치료후 크라운 치료가 필요로 됩니다. -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 치열 금이 갔을 경우 힘이 계속 가해지게 되면 금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치아의 금이 갔을 경우 금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치아를 씌워 주는 크라운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 치아에 금이 간 경우 아주 작은 금은 금이 간 부위를 제거하고 레진으로 떼워줄 수 있지만 금이 내부까지 간 경우는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크라운을 씌우는 것이 좋습니다 - 레진으로만 했을 경우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수도 있고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지 못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