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24.10.29

문학 작품에서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문학 작품에서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은 독자와 작품 사이의 소통을 매개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하는데요 그러면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은 둘다 감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주는 대상이라는데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객관적 상관물는 화자가 어떤 정서를 느끼게 되는 계기를 제공해 주는 대상을 가리키기도 하기 때문에 화자가 느끼는 감정과 같은 감정을 갖지 않더라도 그러한 감정을 불러일으킨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 상관물이 감정이입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좀 더 쉽게 예를 들면 감정이입은 희로애락 등의 감정을 드러낼 만한 표현이 있는 경우이고, 그러한 것이 직접 드러나지 않고 그러한 감정을 일게 하는 대상이나 상황이 있으면 그것은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객관적 상관물은 창작자가 표현하려는 정서, 사상 등을 다른 사물이나 상황에 빗대어 표현할 때

    이 빗대는 대상이 되는 사물. 상황을 뜻합니다

    이런 객관적 상관물 중에서 화자의 감정과 빗대어진 대상이 모두 같은 정서라면

    감정이입의 대상이 됩니다

    예를 들어,

    "저기 개들도 커플인데 나는 혼자 뭐하냐" 라는 대사가 나온다면

    감정에 대한 직접적 말은 없지만 '나는 외롭다' 라는 뜻이 확실함으로

    개커플이 객관적 상관물 이지만

    행복한 개 커플은 나의 외로움과 정 반대 이기 때문에

    감정이입의 대상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