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선한멋돼지5
선한멋돼지5
22.11.07

일본 엔저가 심각하다는데 왜 계속 지금리 유지 하는건가요?

일본은 다른 나라와 다르게 저금리를 유지하는건가요? 우리나라는 저금리유지하면 큰일나듯이 이야기하는데 일본은 우리와 뭔가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일본의 저금리를 유지하는 이유는 국내 경제의 성장률이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현재 일본의 성장률은 약 1%가 되지 않는 수준으로 금리인상을 버틸 수 없습니다. 또한, 제로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함에도 저성장의 늪에 빠져있기 때문에 금리를 조금이라도 올리는 경우에는 도산하는 기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은 현재 매우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다고 판단되며 그나마 국가가 모아둔 미국 국채를 통하여 환율을 간간이 방어하고 있는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미국과는 다르게 금리인상정책이나 양적긴축 등의 긴축적책을 안하고 있는데, 자국내 경제활성화가 더 우선이라는 판단에 따라 경제정책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엔화에 대한 저평가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우 아직까지 인플레이션 수취가 높지않고(약 3% 수준), 정부가 경기 부양정책으로 여전히 통화 확장정책을 유지하면서 기준금리가 낮게 유지되고 잇습니다. 또한, 일각에서는 일본중앙은행이 국채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0%대의 금리를 유지한다는 주장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전세계와는 반대되는 저금리, 양적 완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자국의 경기를 살리고자 하는 일본정부의 노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1.0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행이 엔저를 용인하는 이유로는 저물가와 국채이자 부담이 주로 꼽힙니다. 일본은행은 통화정책 목표를 '물가상승률 2% 도달'로 내걸어 왔습니다. 일본은행은 금융완화와 엔화 약세를 통해 투자 증가와 수출 기업의 실적 개선을 꾀하고 이는 임금 인상과 소비 확대로 이어져 물가가 상승하는 선순환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