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말끔한반딧불29
말끔한반딧불2921.09.03

심장초음파는 어떤걸 알아보기 위해 하는건가요?

1년에 1번정도 발생하는 부정맥 때문에 대학병원 진료 예약을 하였습니다.

가기전에 여러가지 알아보고있는데 심전도 말고도 심장초음파 검사라는게 있더라고요.

그런데 심전도와 심장초음파로 알수 있는 병명(?)이 다르다던데 심장초음파로는 어떤걸 알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전도 검사의 경우에는 심장이 뛰는 리듬을 기록하는 검사로, 심장 부정맥이 있을 경우에 가장 필요한 검사입니다. 반면에 심장 초음파는 심장의 구조적 이상, 예를 들어 판막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심장의 기능과 관련하여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장초음파를 하는 이유는 구조적인 이상이 있거나 기능적으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도플러효과로 얼마나 힘 있게 박동을 하는지 그리고 혈관내 나 심장이 세는 곳은 없는지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장 초음파검사는 판막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병증, 심장막 질환, 감염성 심내막염, 폐동맥색전, 대동맥박리 등의 심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 결정 및 치료 경과의 관찰에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전도는 심장박동의 전위파형을 그래프로 나타낸 검사로 심장의 움직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사이며 심장초음파는 초음파를 이용해서 심장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사 입니다. 초음파를 통해 심장벽의 두께나 심장 안의 구조물들의 이상, 특히 판막이 잘 움직이는지 확인할 수 있고 혈류가 역류하지 않는지 등을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장의 혈류 흐름, 심장 벽의 움직임, 심장혈관의 막힘 등을 보려고 하는 검사입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04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장 초음파로는 심장의 모양 뛰는 속도 안의 구조등을 볼 수 있고 속도를 계산해 심박출량이 얼마나 되는지 상당히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초음파를 시행하는 목적에 따라 얻는 정보도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기덕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심장초음파는 실시간으로 심장이 수축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심장이 잘 수축해서 혈액을 잘 내보내주는지 알 수 있구요.

    이런 기능이 떨어지게되면 심장에 혈액이 자꾸 고여서 심장이 붓는 심부전 증상이 나타나요.

    보통 X-ray에서 심장이 크게 보이거나,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가쁜 심부전 증상이 있는 경우 초음파 등으로 확인합니다.

    또 심장 판막에 이상이 있거나 심장의 각 챔버(심방, 심실 등)에 구멍(결손부위)이 있는지도 알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