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도수는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알코올 도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소주는 알코올 도수가 15%정도로 적혀 있던데요, 이 도수는 어떻게 측정이 되는건가요?
그리고 알코올 도수가 15% 짜리와 30%짜리는 취하는 것도 2배 빠르게 취한다는 뜻이 되는걸까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체 용량이 100ml 기준에서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는 양 기준으로 알콜 도수가 정해지게 됩니다. 만약 90ml 의 물과 10ml 의 알코올이 섞여있다면 알콜 도수는 10% 가 될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 는 말그대로 물와 알코올의 비율을 의미 합니다. 하지만 알콜 도수가 높을수록 더 취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사람에 따라 개인차가 존재하는 부분이기 떄문에 취하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술의 알코올 도수는 발효 과정에서 결정됩니다.
발효는 효모가 당분을 소비하고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 때, 당도와 알코올 도수는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도가 15 브릭스인 포도로 술을 만들면, 최대 8.7% 정도의 알코올 도수가 나옵니다.
그러나,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만드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알코올 도수가 14~15%로 높아지면 효모의 활동이 둔화되어 당분이 그대로 남게 됩니다. 따라서, 발효만으로는 알코올 도수가 20도 이상인 술을 만드는 것이 어려우며 이보다 높은 도수의 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증류 과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알코올 도수는 알코올 도수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알코올이 2배라고 해서 2배 빨리 취하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코올 도수는 주로 밀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밀도계는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의 밀도를 측정하여 알코올 도수를 계산합니다.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알코올의 농도가 높아져서 취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질 수 있지만, 개인의 신체 상태, 체중, 음식 섭취 여부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개인의 취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코올 도수는 알코올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알코올이 차지하는 용액의 부피 비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소주의 경우 15%의 알코올 도수는 100ml의 소주 중 15ml이 알코올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알코올이 용액의 총 부피 중 15%를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알코올 도수는 보통 밀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밀도계는 알코올이 포함된 용액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알코올의 양에 따라 밀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알코올 도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취하는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맞는 말씀이지만 이는 개인의 체질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술의 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더 빨리 취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알코올 도수는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정해지는데 알코올의 양과 다른 성분들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술이라도 제조 과정이 다르면 알코올 도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주 도수는 주정계를 이용하여 알코올과 물의 비중 차이를 측정합니다. 15% 도수는 100ml의 소주에 15ml의 순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취하는 속도는 도수뿐만 아니라 체질, 체중, 음주 속도, 음식 섭취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30% 소주는 15% 소주보다 2배 빠르게 취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지만, 개인차가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콜 도수는 함유되어져 있는 주정(식용에탄올)에 의해 정해집니다. 취함의 정도는 개인차가 심해 정의를 내리긴 힘들듯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코올 도수는 액체에 포함된
알코올의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100ml의 액체에 15ml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면 알코올 도수는
15%가 됩니다.
주정계는 유리로 된 원통형의
도구로 액체의 비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알코올은 물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알코올 도수가 높은 액체는
비중이 낮아집니다.
주정계를 액체에 담그고
주정계의 눈금을 읽으면 알코올
도수를 알 수 있습니다.
굴절률은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알코올은 물보다 굴절률이
높기 때문에 알코올 도수가
높은 액체는 굴절률이 높아집니다.
굴절률 측정기를 사용하여
액체의 굴절률을 측정하면 알코올
도수를 알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코올 도수는 용액에 섞여있는 에탄올의 비율을 의미하고, 전체 볼륨 중 에탄올의 볼륨을 계산한것입니다.
15%보다는 30%의 알콜이 같은 용량에서 두배 더 많은 에탄올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