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종합주가지수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문득 궁금합니다. 종합주가지수는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단순 모든 주식의 산술평균이가요, 아니면 주식총량과 가격을 따지는 것인지, 시가총액의 비중을 두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지수에 따라 다른데 다우지수의 경우 1주당 가격이 높은 주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다우식 산출방식'이고, 코스피, S&P500 등은 시가총액 방식으로 주가를 산출하는 '시가총액 산출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어떤 방식으로 지수가 산출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리나라 종합주가지수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있습니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되는 개별주가를 묶어서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에서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나눈값을 백으로 곱하여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둘 다 ‘시가(시장가격)총액’식으로 만듭니다. 주식 시가총액은 발행주식 수에 주식 단가(1주당 시세)를 곱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오늘 현재 증시에 상장된 각 종목(보통주)의 시가총액을 구한 다음 그 결과를 전 종목에 걸쳐 모두 더하면 오늘 현재 상장종목 전체의 시가총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이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비교해 몇 배나 되는지 계산해 보면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같은 종합주가지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지수 작성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 이 날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전 종목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놓았을 때 오늘 현재 시가총액이 얼마나 되는지를 다음 식을 따라 구하면, 오늘의 코스피지수 값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코스피시장과 코스닥 시장은 시가총액 방식으로 지수를 산출하게 됩니다.
미국 S&P500 지수 및 나스닥과 같은 경우에도 시가총액 방식으로 지수를 산출하게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