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3.19

낙수효과와 낙인 효과에 대해서 알고 싶네요...

낙수 효과와 낙인 효과라는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비슷한 말인 것 같지만 전혀 다른 내용인 것 같은데요. 어떤 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두 용어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으로, "낙수 효과"는 어떤 그룹이나 지역이 더 많은 이익을 누리는 것을 의미하고, "낙인 효과"는 어떤 그룹이나 개인이 불리한 대우를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낙수 효과"는 어떤 정보나 자원이 특정한 그룹이나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모이면, 해당 그룹이나 지역에서 더 많은 이점을 누리게 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적인 이익을 비롯해, 문화적인 영향력, 정치적인 영향력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중심지에는 금융업 종사자들이 집중되어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이는 해당 지역의 경제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낙인 효과"는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 대한 선입견이나 편견으로 인해, 그들이 불리한 대우를 받거나 차별을 받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종, 성별, 국적, 종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인종이나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취업이나 교육에서 불리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낙인 효과의 한 예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낙수효과는 기업과 고소득자의 부를 늘려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까지 헤택을 보게 하자는 이론인데요. 분배와 형평성보다 성장과 효율성을 중요시하는 것이죠. 낙인효과는 한 번 부도를 일으킨 기업은 건전성을 회복하더라도 시장의 충분한 신뢰를 얻기 어려우며 위기 상황에서 다른 기업보다 더 빨리 위기에 빠질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낙수효과

    낙수효과(Trickle-down economics)란 대기업이나 고소득층 등 선도 부문이 성장하면 이들의 성과가 연관 부문으로 확산됨으로써 경제 전체가 성장한다는 이론을 말합니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낙수 효과 이론을 뒷받침 해주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점에서, 사실상 허구의 이론이라고 비판받고 있습니다.

    2. 낙인효과

    낙인효과(Stigma effect)란 편견이나 고정관념에 따른 부정적인 낙인이 찍히면 실제로 행태가 나쁜 쪽으로 변해 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낙수효과는 대기업, 재벌, 고소득층 등 선도 부문의 성과가 늘어나면 연관 산업을 이용해 후발, 낙후 부문에 유입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컵을 피라미드같이 층층히 쌓아놓고 맨 꼭대기의 컵에 물을 부으면 제일 위의 컵부터 흘러들어간 물이 다 찬 뒤에야 넘쳐서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간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국부의 증대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분배보다는 성장을, 형평성보다는 효율성을 우선시한다는 전제로부터 나온 것이지만 이를 뒷받침해주는 사회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낙인효과는 과거의 어떤 행위나 모습만을 보고 단정지어 생각하고 낙인을 찍어 평가하기 시작하면 그 평가의 대상이 된 사람은 점점 행동이 위축돼 평소 가진 능력마저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사회제도나 규범을 근거로 특정인을 일탈자로 인식하기 시작하면 그 사람은 결국 범죄인이 되고 만다는 낙인이론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낙수효과와 낙인효과는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는 경제적 부유층이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소비를 늘리면, 이에 따라 경제 활동이 활성화되고, 이를 통해 하위 계층에도 이익이 전파된다는 가설입니다. 즉, 경제적 부유층의 부의 증가가 하위 계층의 소비와 생활 수준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입니다.

    반면, 낙인효과(Crowding-out effect)는 정부가 지출을 증가시키면 이에 따라 국채 발행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금리가 상승하여 민간 투자가 감소하고 경제 활동이 위축되는 효과를 말합니다. 즉, 정부가 지출을 증가시키면 민간 부문의 투자와 경제 활동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낙수효과는 부의 증가가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지닌 반면, 낙인효과는 정부의 지출 증가가 민간 투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