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반반한고슴도치125
반반한고슴도치12522.07.06

코로나 백신의 부작용인 혈전에 관해서

나이
5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여러 코로나 백신중 부작용인 혈전현상이 있다하는데 우리가 예전에 흔히 쓰던 아스피린이 혈전현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하는데 맞는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중 부작용인 혈전증상을 예방하는데 아스피린이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근거가 부족하며 아스피린의 경우 의사와 상의하에 반드시 복용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 부작용은 개인의 면역력과 기저질환 등에 따라 감염 이후의 예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감기 몸살 증상과 함께 두통, 근육통, 알러지반응, 무기력증과 함께 흉통, 미각/후각상실, 월경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무증상인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아스피린을 복용한다고 하여 백신으로 인한 혈전 부작용이 예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이 혈전 예방이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코로나 백신으로 나타난 혈전 예방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아스피린은 다른 약과 상호 작용이 심하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에게 함부로 쓸 수 있는 예방적 약이 아닙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아스피린으로 인하여 백신으로 나타난 혈전이 예방된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또한 아스피린은 다른 약과의 상호 작용이 크기 떄문에 예방적으로 드시게 전에 반드시 몸 상태를 점검하고 전문가와 상의 후 드셔야 합니다. 따라서 혈전 현상과 아스피린의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저용량 아스피린은 혈전을 녹여 피를 묽게하는 역할을 하는 약입니다.

    하지만 지혈을 억제하여 질환이 있지 않은 사람이 복용시 타박상시 복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멍이 잘 든다거나 찢어진 상처가 발생시 지혈이 잘 되지 않을수 있는 부작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염이나 위내 미세 출혈이 있는경우는 아스피린 복용시 위장장애가 더 심할수 있습니다.

    저용량 아스핀린이 백신부작용으로 인한 혈전을 예방할수 있다는 의학적인 근거가 현재는 부족하며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에 복용여부를 결정하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백신접종 후 아스피린을 이용한 치료는 가능하겠지만 아스피린을 미리 먹어서 예방할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중 혈전증위험이 높은 백신은 모더나와 아스트라제네카가 있습니다만 아스피린을 복용한다고해서 예방이나 치료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노바백스는 바이러스 에피톱, 단백질 항원 백신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DNA를 주입한 바이러스 벡터 백신이고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은 m RNA 백신 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면역세포를 활발하게 해주는 장점, 유통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드물게 혈전증 부작용이 있어, 심한 두통이나 신체 곳곳에 멍이 생기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셔야 합니다.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은 중화항체를 많이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드물게 심근염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흉통, 심계항진,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면 병원에 바로 가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코로나19 백신접종으로 생기는 혈전은 아스피린으로 예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이 없는데도 접종전 아스피린을 복용하는것은 무의미하여 부작용 가능성을 높이므로 금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백신에 의한 혈전 방지를 위해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이 효과가 없다는 기사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해외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특이한 희귀 혈전증이 발생해 우려가 높았는데요.
    우리나라 식약처도 이에 대해서 주의사항을 추가했습니다.
    하지만 높은 우려만큼 백신 접종으로 인한 발생률은 높지 않은데요.
    지난달 27일 기준으로 영국의 희귀 혈전증 발생률은 0.00079% 였습니다.
    이 혈전증 우려가 확산되면서 온라인에는 백신 접종 전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혈전증이 예방된다는 말이 떠돌고 있습니다.
    이 방법, 효과가 있을까요?
    팩트체크 해보겠습니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아스피린 500mg 이상 고용량은 해열·소염·진통에 효과가 있고 100mg 이하 저용량은 혈전을 예방합니다.
    그래서 이 아스피린을 백신 접종 전에 미리 먹겠다는 건데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 전에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은 검증된 방법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오히려 아스피린은 항염증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 후 항체 형성을 방해하는데요.
    즉, 예방 효과가 검증 되지 않은 아스피린 복용이 백신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희귀 혈전증의 위험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신 접종 후 3일까지는 발열·두통· 오한 증세가 나타날 수 있는데요.
    만일 접종 후 4일이 지나도 증세가 나타난다면 병원에 가서 혈전증 이상 여부 등 상태를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 희귀 혈전증은 아직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았고 발생 확률도 매우 낮기 때문에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아스피린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혀졌습니다.

    딱히 예방할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코로나는 비말감염이 주된 감염 경로입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아스피린을 저용량으로 먹게 되면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가 있어서 혈전생성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은 맞습니다.

    2. 다만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생기는 혈전은 일반적인 혈전생성방식과는 다릅니다. 코로나 백신의 일부 물질이 혈소판과 들러 붙어서 생기는 기전입니다. 아스피린 먹어도 백신 접종 후 생기는 혈전예방에는 도움되지 않습니다.


  •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 항혈소판제등이 혈전을 예방하는 용도로도 복용하는 약물은 맞지만

    백신 접종으로 생기는 혈전의 경우 그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예방효과가 없어

    미리 복용하시는 것은 크게 권유드리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혈전이 발생하는 기전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아스피린 역시 염증 반응으로 인한

    혈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것이 실제로 코로나 백신 접종자에게서 아스피린

    복용이 혈전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아직 없어 명확하게

    답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아마도 기존에 아스피린이나 혈전 용해제를 복용

    중인 분들에게서 혈전이 발생하는 정도가 적다는 연구가 나오는 경우, 생각해 볼 수

    있지만 백신 접종에 대한 혈전 발생 빈도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 접종을 하는 모든 사람

    들에게 아스피린을 드시도록 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 아닌 것도 사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중 부작용인 혈전현상은 아스피린으로 치료하는 일반혈전증과는 달리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으로 이경우에는 아스피린아닌 항응고제로 치료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이 혈전예방에 도움이 되는건 사실입니다. 100mg의 아스피린이 혈전예방에 효과가 있지만 위장장애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백신접종 전 아스피린 복용의 예방 효과는 아직 과학적으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특히 백신접종 전 항염증제를 먹으면 오히려 항체형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은 혈전 혈성을 막기도 하지만 해열진통제, 항염증 성분이기에 복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접종 후 이상반응은 대부분 사흘째 회복되고 나흘째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나흘 이후에도 발열, 두통 등이 계속될 경우 병원을 찾아서 혈전증 이상여부를 검사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