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열섬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도시의 빽빡한 밀도로 인하여 열이 빠져나가지 못해서 더워지는 현상을 열섬 현상이라고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도심 집중화를 해소하기는 힘든데 도시 열섬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도시내 유휴부지에 도시 숲을 조성하거나 거리에 가로수를 확대 배치하여 주변 온도를 낮추고 대기 오염 물질을
흡수하고 다양한 형태의 숲을 조성하여 열섬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건물 옥상 및 벽면에 식물을 심거나 녹색공간을 조성하여 건물 온도를 낮추어 냉난방 소비를 줄일 수 있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나무와 식물들이 심어져 있는 녹지를 만드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뉴욕의 센트럴 파크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에 현실적으로 어렵고 옥상에 최대한 식물을 많이 심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건물의 색상을 밝은 색으로 하면 건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열을 흡수하는 페인트를 사용하여 외벽을 마감하여 도시의 열섬효과를 낮출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도심 열섬 현상은 도시의 높은 밀도로 열이 정체되어 발생합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 녹지 공간을 확충하고, 햇빛을 반사하는 쿨 루프/쿨 페이브먼트 같은 자재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분수 등 수자원 활용과 자연 환기, 차양 설치 같은 건물 설계 개선 또한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도시 열섬현상은 도시화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철재 등 인공적인 구조물로 인해 녹지와 토양이 줄어들어 태양열을 빠르게 흡수하여 밤에는 천천히 방출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온도가 높게 됩니다. 도시화는 바람길을 막아 잘 통하지 않고 녹지공간이 부족하여 열섬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자연적인 냉각효과가 감소하고 자동차나 공장, 에어켠 등에서 끊임없이 열을 배출하여 온도상승을 가속화하여 기후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도시 열섬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도시 내 공원이나 가로수로 도심숲 녹지공간을 확대하고 차열성 포장을 도입 및 건물의 옥상정원, 벽면 외벽 식물설치 등 친환경 건축과 도시 계획으로 녹지 인프라를 확장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나무와 식물은 증산작용을 통해 주변공기를 식혀주고 체감온도를 3~5도까지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스마트 그리드를 도입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이 열섬현상을 줄일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