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23.04.30

각 삼국시대에서 불교를 받아들이는 이유가 뭔가요?

제가 알기로

고구려는 소수림왕

백제는 침류왕

신라는 법흥왕 때 불교를 각각 받아들이던데

세나라 모두 불교를 받아들이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3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 불교를 받아들인 공통적인 이유는 나라가 세워지고 건국 초기의 왕권강화와 중앙집권적 통치제도를 정비하고 중국으로부터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자 한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로 대중의 민심을 얻고 또 정치적으로 이용하기에 좋기 때문입니다. 종교 철학 가치관도 나쁘지 않고여 국민 정서 나라 안정에 큰 기여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가의 근본을 세우기 위해 유교를 받아들인 삼국은 정신적인 면에서 하나됨을 위해 불교를 받아들여 국가의 이념으로 삼고자 했습니다. 고구려는 순도라는 스님에 의해 소수림왕 때 전해졌으며 백제는 동진의 스님인 마라난타에 의해 침류왕 때 전해졌고 신라는 순도의 제자인 아도에 의해 법흥왕 때 전해졌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는 왕의 권위를 세워주고 백성들의 마음을 모아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구려는 소수림왕(372년), 백제는 침류왕(384년)때 불교를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이런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신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140여년이 늦은 527년에 불교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입니다.

    -출처:영남일보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교의 수용은 고대국가의 체제 정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즉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은 왕권 중심의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이념을 필요로 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불교는 왕권의 초월성을 뒷받침하는 논리를 제공할 수 있었고, 유교는 忠孝의 덕목으로 이에 기여할 수 있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불교와 유교가 수용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먼저 불교의 경우, 첫째, 호국정신을 뒷받침했습니다. 즉 불교는 자국을 佛國土, 즉 불교적으로 선택된 국가라고 이상화하면서 국토 수호의 당위성을 천명했습니다. 나아가 불국토 확대를 명분으로 정복전쟁을 정당화하기도 했습니다.


    둘째, 세계관의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기존의 전통종교는 현세 중심적이었습니다. 즉 현세에서의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목표로 했으며, 이를 위해 의례를 중시했습니다. 그리고 내세는 막연히 현세의 연장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불교는 현세 부정적이었습니다. 즉 과거·현재·미래가 인과관계에 의해 끝없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현세는 과정의 한 부분에 불과하며, 덧없는 것이라 했습니다. 이에 따라 불교에서는 미래, 즉 내세관이 발달했는데, 그것은 생전의 삶의 질에 따라 극락·지옥 등으로 다변화되어 있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현세를 위해서는 물론 내세를 위해서도 도덕적 삶의 필요성을 역설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