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국제 우주정거장은 한개만 있는것인가요?

뉴스같은 것 보면 우주정거장을 여러 국가가 같이 쓰는 것 같더라고요

짓는데도 비용 이 상당히 들것 같은데

한개만 존재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재 국제 우주정거장은 한 개만 존재합니다. 이는 여러 국가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 이유는 우주정거장을 짓는 것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러 국가가 함께 출자하여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이렇게 함께 사용하는 것을 국제 우주정거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국제 우주정거장은 여러 국가가 함께 연구하고 실험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다양한 국가의 과학자들이 함께 연구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주 탐사 및 우주 개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국제 우주정거장은 여러 국가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현재까지도 이 방식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경건한호랑이256
    경건한호랑이256

    안녕하세요. 권창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여러 국가가 함께 사용하는 우주정거장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국제우주정거장(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입니다.

    국제우주정거장은 1998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어,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일본, 캐나다, 브라질 등 16개국이 참여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 우주정거장은 인류의 우주 탐사와 연구를 위한 전초기지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건설 비용은 약 400억 달러(약 57조 원)으로 추산됩니다. 매우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한 국가가 독자적으로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여러 국가가 협력하여 건설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지구 저궤도(LEO; low earth orbit) 정거장만이 실현 되었으며, 이러한 우주정거장을 궤도정거장(orbital stations)이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iss는 하나이며 이 우주정거장은 여러국가의 여러 모듈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형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지구 궤도를 도는 우주 정거장은 국제 우주 정거장(ISS) 단 하나입니다. 미국, 러시아, 일본, 유럽 우주 기구, 캐나다 등 15개국이 협력하여 1998년부터 건설해 왔고,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국제우주정거장 (ISS)은 한 개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ISS는 지구 궤도 상에 위치한 연구 시설로서, 다국적 우주 기관들의 협력을 바탕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곳은 우주 탐사와 연구를 위한 중요한 플랫폼으로, 다양한 과학 실험, 기술 개발, 의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ISS는 여러 국가들의 협력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16개의 모듈과 금속 트러스, 열을 배출하는 라디에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금까지 우주에 조립된 인공 구조물 중 가장 큰 우주선입니다. ISS는 여전히 지구 궤도를 돌고 있으며, 승무원들이 교대로 상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십 년이 지나면서, 우주 정거장의 하드웨어 대부분이 낡거나 궤도에서 제어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ISS를 정확히 궤도에서 이탈시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며, 이를 위해 궤도간 운송기를 개발하는 계획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대기권 재진입이 될 전망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국제우주정거장은 현재 우주에서 운영되는 유일한 다국적 우주정거장입니다.

    러시아와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참여하여 1998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우주 탐사와 연구를 위한 중요한 플랫폼으로, 다양한 과학 실험, 기술 개발, 의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이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