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귀요미판다곰198
귀요미판다곰198

임시정부가 1923년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1919년 3.1운동 이후 체계적인 독립투쟁을 위해 임시정부를 수립했습니다. 그런데 1923년 국민대표회의 소집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3.1 운동 이후 체계적인 독립 운동을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그런 임시정부의 활동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어 그동안의 임시정부의 투쟁 방법을 되돌아 보고 투쟁 방략을 모색하기 위해 1923년 국민 대표회의를 소집합니다.

    특히 일제의 탄압으로 연통제와 교통국이 파괴되면서 인원 및 독립 운동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되고, 독립군과도 연락이 두절되어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회주의 세력과 민족주의 세력의 이념 대립과 외교투쟁과 무장투쟁론 등의 투쟁 방법의 대립으로 내부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또한 이승만 대통령의 국제연맹 위임통치 청원에 실망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1923년 국민 대표 회의를 소집하여 임시정부의 투쟁 노선을 놓고 논의하였습니다. 그러나 임시정부 존폐 논쟁으로 확산되어 창조론과 개조론이 대립되자 결국 아무 결론 없이 해체되면서 임시정부는 침체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독립을 위한 국내외 단체들이 많이 생겨서 이를 통합하고 조정해줘야 할 필요성이 생겨서 1923년 국민대표회의가 중국 상해에서 열렸습니다. 이 회의에 모인 국내외 단체의 대표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진로를 비롯한 독립운동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