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원화 가치 강세 약세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현재 USD 매매기준율에 따라서 이게 원화가치가 강세인지 약세인지 어떻게 판단하나요?

또, 미국이 세계자본시장의 중심이라 무조건 USD 매매율로만 화폐 가치를 정하나요? 전세계 화폐가치를 정할때 USD 매매율 기준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의 표시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자국통화표시환율이고, 다른 하나는 외국통화표시환율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자국통화표시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국통화표시환율은 ‘1달러=1,000원’과 같이 외국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자국 통화의 양으로 표시합니다. 즉 외환시장에서 1달러와 1천 원이 교환되고 있다면 환율은 1,000원(원/달러)이 된다. 이때 환율의 단위가 ‘원/달러’입니다. 외국통화표시환율은 1원=0.001달러와 같이 자국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외국 통화의 양을 표시하기 때문에 1원과 교환되는 달러의 양을 환율로 정의하고 환율은 0.001(달러/원)이 됩니다. 이 경우는 환율의 단위가 ‘달러/원’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강달러는 원화 통화에 대해서 만이 아니라 주요 통화 모두에 강세입니다. 미달러가 압도적인 기축통화이자 유일무이한 안전자산 취급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달러인덱스 추이를 보면 10년래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달러인덱스는 미달러 대비 주요 통화인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 캐나다 달러,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나 등 6개 통화 바스켓을 1973년 3월의 값을 100으로 하는 비교 지표입니다.

    달러 가치가 최근 하락했으나 최근 급등했고 원화 대비 달러 가치도 마찬가지입니다. 미달러가 중심인 이유는 2차 대전 이후 세계경제는 브레튼 우즈 체제를 시작으로 미달러화를 기축통화로 삼고 금과 태환 하는 제도를 시작하게 된 연유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달러의 가치가 원화대비하여 강세 및 약세와 같은 경우

    명확하게 구분하는 기준은 없습니다만 보통 현재 수준의 환율을

    가지고 이를 논하였을 때, 5년 평균 환율 및 10년 평균 환율 등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