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쟁이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문의드려요.
산속이나 심지어 공사장 안에 고인물에서도 생명체가 전혀 생존할 것 같지않은 환경인데도 희안하게 소금쟁이들이 돌아다니는걸 본적이 있어요. 소금쟁이가 물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과학적 원리가 뭔가요? 그럼 사람도 물위를 갈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물 위를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표면 장력의 영향입니다. 표면 장력은 액체 표면을 형성하는 분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는 액체의 표면이 수직으로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데 역할을 합니다. 소금쟁이는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물 위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반면, 사람은 물 위를 갈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표면 장력의 영향으로 인해 매우 제한적입니다. 물 위를 걷는 장치나 운동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물 위를 걷는 것은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이렇게 물 위를 걸을 수 있는 이유는 액체가 표면적을 줄이기 위해 작용하는 힘인 표면 장력 때문입니다. 사람은 무게가 무거워 이런식의 작용은 힘들것 같습니닫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발이 물에 닿게 되면 물이 오목하게 들어가 표면적이 넓버지기 때문에, 물의 표면은 소금쟁이의 발을 위로 밀어 올려 표면적을 줄이려 하는데 이것이 바로 소금쟁이가 표면장력으로 물에 뜰 수 있는 원리이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물에 뜨는 이유는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그렇습니다 물의표면 장력은 물 분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힘으로 물 위에서 떠다니는 물체에게 위쪽으로 작용합니다 소금쟁이의 발이 물 위에 떠다니기 쉬운 형태를 가지고 있고 표면 장력이 발에 작용하여 물 위에 뜰수있도록 하는 겁니다 사람이 아무런 장비없이 물위를 걷는것은 불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물에 뜰수 있는 이유는 물의 표면장력과 소금쟁이 다리의 구조에서 기인합니다.
소금쟁이의 다리는 털이 많고 소수성이라 물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스키장비를 길이 1km정도로 만들면 사람도 물에 뜨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는 발이 물에 닿게 되면 물이 오목하게 들어가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물의 표면은 소금쟁이의 발을 위로 밀어 올려 표면적을 줄이려 하는데 이것이 바로 소금쟁이가 표면장력으로 물에 뜰 수 있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 다리에 난 미세한 털과 물은 표면장력에 의해 서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소금쟁이가 물에 뜨게 된다.
표면장력: 액체상의 물질은 자유로이 팽창할 수 없으므로, 다른 액체나 기체와의 사이에 표면을 생성하게 된다. 이 때 액체표면에 존재하는 장력을 표면장력이라 한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물의 밀도보다 낮아서 물에 뜨는 이유도 있지만(부력), 다리에 물보다 비중이 낮은 기름이 묻어 있기 때문에 물표면에 떠있을수 있는 이유가 됩니다 (표면장력)
사람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소금쟁이와 같은방법으로 물위 걷기는 어렵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