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 생체시계라는 것은 존재하는가요?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생체시계라는 말이 있는데요. 정말로 사람의 몸에는 생체시계로 기능하는 것이 있나요? 아니면 유사과학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체시계'란 동식물의 다양한 생리·대사·발생·행동·노화 등의 주기적 리듬을 담당하는 기능하는 기관으로, 인체 내부에서 시간에 따른 생체리듬을 주관하는 생물학적 시계를 의미합니다. 생체시계는 크게 심장 박동, 체온 변화, 호흡, 눈 깜박임 등 '하루보다 짧은 주기(ultradian rhythm)' , 밤과 낮에 따른 변화 등 '대략 24시간 주기(circadian rhythm)' , 여성의 월경 등 '하루보다 긴 주기(infradian rhythm)'를 갖는 3가지로 구분됩니다. 인간의 생체시계는 수면패턴, 체온조절, 혈압변화 등 직접적인 조절 역할을 수행하며, 호르몬 분비량 조절과 관련된 내분비계와 면역체계, 순환기계, 배설계 등에도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인간과 같은 고등동물의 생체시계는 뇌의 시신경 교차상핵(SCN·SupraChiasmatic Nuclei)에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SCN은 눈에서 뇌로 들어가는 정보망(시신경)이 뇌로 가는 중간에 위치한 1만 6000~2만 여 개의 신경 세포들의 집단을 일컫는데, 동물이 밤낮을 구분해 행동하는 것은 SCN에 있는 생체시계 작동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은 알려져 있으나, 생체시계가 어떻게 우리 몸에 시간정보를 알리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생체시계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우리 몸 안에는 수많은 생리적인 과정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들은 시간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보입니다. 이러한 패턴을 조절하고 조정하는 것이 바로 생체시계입니다.
생체시계는 우리 몸 안에 있는 다양한 조직과 세포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우리 몸의 내부 시계를 조절합니다. 이러한 생체시계는 우리가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잠들 수 있도록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생체시계는 유사과학이 아닌 실제적인 과학적인 현상입니다. 우리 몸의 생체시계는 일상 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일정한 시간에 식사를 하거나 운동을 하거나 잠을 자는 것은 모두 생체시계의 조절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리고 생체시계는 우리 몸의 건강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 몸의 생체시계가 어긋나면 수면부족 우울증 비만 등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체시계는 모든 생물에게 존재하는 현상이며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모두 생체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생체시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우리 몸의 생체시계와 동물들의 생체시계는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programmed cell death라는 것이 있습니다.
세포는 27~35번정도 세포분열을 하면 분열능을 다 잃고 더 이상 세포 분열을 못하게 됩니다.
세포 분열을 할 때마다 텔로미어가 짧아지고 유전자 내부에 돌연변이 숫자가 증가하고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도 점점 없어집니다.
따라서 생체시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체시계는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일정한 주기의 생리적, 행동적 변화를 조절하는 내재적인 시계입니다. 사람은 물론 식물, 동물, 심지어 세균까지도 생체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